“성장률 전망치 낙관적…통화정책 협조 필요하다”
[매일일보 배나은 기자] 경제 전문가들은 정부의 2015년 경제정책방향에 대해 의도나 방향성 자체는 긍정적으로 평가했지만 구조개혁을 추진할 정책의 구체성은 다소 미흡하다고 지적했다.정부가 하향 조정한 내년 경제 성장률 전망치 3.8%가 지나치게 낙관적이라는 지적도 나왔다.
성태윤 연세대 경제학과 교수는 “구조개혁을 통해 경제체질을 개선하고, 이를 뒷받침하는 경제활력제고 정책을 펼치면서 가계부채 등 위험요인 관리 대책을 내놓는 등 큰 방향은 제대로 잡았다”면서도 “최근 계속 악화되고 있는 재정 건전성 문제는 간과된 것 같다”고 지적했다.
이어 성 교수는 “디플레이션은 구조적 문제라기보다는 통화정책의 문제로 봐야 하는 만큼 현재 경제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중앙은행의 통화정책”이라며 “중앙은행의 협조 없이는 정부의 내년 경제정책방향이 의도한 효과를 얻지 못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이준협 현대경제연구원 경제동향분석실장은 “구조개혁을 전면에 내세운 것은 바람직하다”면서도 “재정지출 확대 등 긍정적 요인에도 미약한 내수 회복세, 대외 불확실성 확대 등 부정적 요소가 강해 3.8%의 경제성장률 전망치는 다소 낙관적”이라고 꼬집었다.
이 실장은 “특히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에 따른 부정적인 효과와 신흥국·산유국의 외환위기 가능성, 엔저효과 등을 종합할 때 하방 위험이 더 큰 상황”이라면서 “공공요금 정상화 등 피할 수 없는 과제가 있다면 지금 단행하되, 에너지 바우처 등 저소득층 지원책으로 체감경기가 악화되지 않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김상조 경제개혁연구소장은 “최근 대한항공 조현아 전 부사장 문제처럼 한국 사회에 만연한 ‘갑을 관계’ 문화, 대통령의 ‘경제민주화’ 공약이기도 했던 시장경제 질서 확립 등 뜨거운 화두에 관한 고민은 찾아볼 수 없다”며 “한국 사회가 추구해야 하고 내년 1년간 힘을 쏟아야 할 구조개혁 과제를 우선순위에 맞게 다 포괄한 것인지 의문이 남는다”고 말했다.
김 소장은 이어 “러시아 사태, 미국 금리인상, 신흥국 위험 등으로 내년 여건이 상당히 불확실한 상황에서 리스크 관리 부분은 미흡해 보인다”면서 “가계부채와 기업구조조정 이야기는 진부하고 강한 의지를 보였다고 보기 어렵고, 외환시장 안정도 늘 해오던 3종세트 관련 이야기뿐”이라며 “좀 더 냉정하게 욕심을 줄여 정책방향을 설정했으면 좋았을 것”이라고 지적했다.김정식 한국경제학회장은 “전반적인 계획은 잘 짜여진 듯하다”면서도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 등 대외환경에 대한 대응책과 엔저와 중국 리스크 등의 문제도 제시되어야 한다”고 말했다.또 “과학기술과 IT 분야에서 기술지원을 어떻게 할 것인지 좀 더 구체적인 계획이 나와야 하고 소비자의 불안감을 줄여줄 수 있는 연금시스템과 복지시스템에 대한 미래 플랜도 세밀하게 설계해 제시해야 했다”고 아쉬움을 표현했다.신민영 LG경제연구원 경제연구부문장은 “경제 성장률의 하락을 좌시할 수 없는 입장이라면 좀 더 과감하고 혁신적인 대책을 제시해야 하는데, 그런 대책이 잘 보이지 않는다”며 “근본적으로 구조를 바꾸는 조치인지에 대해 의문이 든다”고 지적했다.이어 “서비스육성 정책과 관련해 국회만의 잘못으로 돌리지 말고 입법을 통하지 않고 할 수 있는 부분에 대한 대책이 제시됐어야 했다”면서 “서비스산업 등 내수시장과 관련해 더욱 근본적인 조치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또 “공공성과 사업성의 문제에서 공공성을 인정할 부분과 사업성을 인정할 부분을 세밀하게 구분할 필요가 있고, 규제 완화에 대한 기준에 대해서도 건수를 올리는 데 주안점을 두는 게 아니라, 복잡하더라도 핵심규제를 풀어나가는 데 중점을 둬야 한다”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 매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