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안함 침몰 원인 ‘북 공격설’ 부각하는 보수언론들
상태바
천안함 침몰 원인 ‘북 공격설’ 부각하는 보수언론들
  • 인터넷뉴스팀
  • 승인 2010.03.30 22:2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진보언론들 “정부·군 당국, 위기관리 능력에 문제”

▲ /사진=뉴시스
[매일일보=정책및보도자료] 29일 김태영 국방부 장관이 천안함의 침몰 원인으로 ‘북한 연루 가능성’을 언급하자 일부 신문들이 ‘북한 공격설’에 거듭 힘을 실으며 대북 긴장감을 고조시키고 있다.

30일 조중동은 김 장관의 발언에 큰 의미를 부여하며, 북한의 기뢰 공격을 사실상 단정하는 듯한 보도를 내보냈다.
특히 조선일보는 ‘북한 공격에 의한 침몰’을 전제로 “전시(戰時)에 준하는 국가적 위기도 각오해야 한다”고 전시태세를 부추겼다. 중앙일보도 ‘군의 사기를 꺾는 질책과 논란을 접고 북한의 움직임을 예의주시하면서 만반의 대비태세를 갖춰나가자’는 주장을 폈다. 반면 한겨레신문은 구조 작업과 실종자 수색 등 사고 이후 군 당국과 정부가 보여주고 있는 ‘위기관리 능력 부재’를 비판했다. 조선일보는 사설에서 “정부와 군 당국은 초계함 천안함이 기뢰(機雷)나 어뢰(魚雷)에 의한 폭발로 침몰했을 가능성을 집중 조사하고 있다고 한다”며 기뢰나 어뢰 공격 가능성에 힘을 실었다. 그러면서 “천안함 침몰 원인이 어뢰나 기뢰를 이용한 의도적 공격으로 드러날 경우 맨 먼저 떠오르는 것은 그간 서해 북방한계선(NLL)을 인정할 수 없다며 무력 도발을 공공연히 외쳐왔고, 과거부터 경비정과 반(半)잠수정 등을 동원한 파괴 활동을 계속해온 북한”이라며 지목했다. 이어 “천안함을 물 밖으로 인양해야만 정확한 침몰 원인을 규명할 수 있고, 침몰 원인을 규명한 위에서 그것이 누구의 소행이냐를 따져갈 수밖에 없다”면서도 “천암함이 북한의 기뢰 또는 어뢰 공격을 받고 침몰한 것이 사실로 입증되는 순간 대한민국은 국가적 차원의 대응을 결정해야 할 고비를 맞게 된다”, “상황에 따라서는 전시(戰時)에 준하는 국가적 위기도 각오해야 한다”며 전시태세를 부추겼다. 사설은 “이 결정적 국면을 맞아 정부와 군, 정치·경제·사회 각계를 비롯해 국민 모두가 마음가짐을 새롭게 다질 필요가 있다”면서 “한·미 연합 대응 체제가 원활하게 진행되는 모습을 보여줘 국민의 불안감을 덜어주면서 혹시라도 국제사회가 한반도 안보에 불안감을 갖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주장했다. 누구보다 적극적으로 대북 긴장감을 조성하면서, 말로만 ‘국민의 불안감을 덜어주라’고 주문하는 이중적인 행태가 아닐 수 없다. 조선일보는 1면 톱기사에서도 “정부나 국방부는 북한의 개입 가능성이 없다고 한 적 없다”는 김태영 국방장관의 발언을 제목으로 뽑아 강조했다. 또 김 장관의 발언에 대해 “북에서 떠내려온 기뢰보단 의도적으로 설치된 기뢰 쪽에 무게를 두는 듯한 발언”이라며 북한의 의도적인 공격 가능성에 힘을 실었다. 5면에서는 김 장관의 발언에 대해 “폭발원인은 ‘외부충격’으로 좁혀지며, 이 외부폭발은 어떤 식으로든 북한과 관련됐을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있음을 시사한 것”으로 풀이했다. 이어 북한 기뢰에 의한 폭발과 어뢰 공격 가능성을 언급한 김 장관의 발언을 자세히 다뤘다. 같은 면 <北 해상저격부대 소행 가능성 제기>에서는 천안함 침몰이 북한의 해상저격부대 즉 자살특공대의 작전일 수도 있다는 고위 탈북자의 주장을 자세히 보도했다. 중앙일보도 1면에서 김 장관의 발언을 부각하며 “정부 고위 관계자가 사고원인과 북한의 관련 가능성을 공식적으로 언급한 건 처음”이라고 강조했다. 사설에서는 ‘지금은 군사적으로 비상상황이니 군 당국에 대한 비판을 자제하고 북에 대한 대비태세를 갖추자’는 요지의 주장을 폈다. 사설은 해군의 초기 대응을 둘러싼 비판이 나오는 데 대해 “현 시점에서 사고원인과 사후 대처 과정에 대한 지나친 논란은 사태를 수습하는 데 도움이 되지 않는다”면서 “해군의 대응에 문제점이 있었다면 사태 수습이 끝나고 사고 전반에 대한 면밀한 조사 결과가 나온 뒤 그걸 토대로 비판하고 문책해도 늦지 않다”고 주장했다.
이어 “가뜩이나 지금은 군사적으로 비상상황”, “만의 하나 북한의 소행으로 확인된다면 크나큰 안보 위기로 직결된다”고 위기감을 고조시키더니, “섣부른 질책과 논란으로 해군은 물론 전체 군의 사기에 악영향을 끼치는 사태는 절대 금물”, “모두가 자중하면서 실종자 구명과 수습을 성원하는 한편으로 북한의 움직임을 예의주시하면서 만반의 대비태세를 갖춰나가야 할 때”라고 주문했다. 10면과 11면에서는 국회 국방위에 출석한 김 장관이 침몰원인과 아군 오폭 여부, 북한 관련성, 군의 초기 대응에 대한 질의에 답한 내용을 자세히 다뤘다. 12면에서는 천안함의 침몰 원인이 내부 폭발보다는 외부 충격 쪽으로 기울고 있다면서 그 가능성이 기뢰, 어뢰 순으로 크다고 분석했다. 기사는 백령도 부근에 기뢰가 있다면 북한 잠수함(정)이 몰래 백령도 인근에 부석했을 가능성과 북한이 6·25전쟁 때 사용했던 기뢰가 우리 수역으로 흘러 들어왔을 가능성 등을 전하며 이 경우 어떤 무기를 사용해 침몰시킬 수 있는지를 자세히 다뤘다. 16면에서는 북한이 6·25 60년 언론 취재에 반발하고 서해안 경계를 돌연 강화했다는 소식을 전했다. 같은 면 <백령도 마주보는 사곶기지에 북, 잠수정 20척 해군기지 운영>에서는 북한 해군이 로미오급(1800t)과 상어급(300t) 잠수함과 잠수정을 모두 70척 보유하고 있고, 잠수함 전력을 지속적으로 증강하고 있으며, 신형 어뢰 개발에 집중하고 있다는 등 북한 해군의 전력을 상세히 전하며 위협적이라는 점을 강조했다. 동아일보는 5면 <“흘러온 기뢰일 수도” “레이더에 잡혔을 것”>에서는 전문가들의 주장을 빌어 내부 폭발 가능성은 낮고 기뢰 접촉이 가장 유력한 원인이라고 강조했다. 또 기뢰가 남한 기뢰는 아닐 것이라면서 “북한 항만에 부석한 방어기뢰가 흘러왔거나 북한 잠수정이 기뢰를 부설했을 가능성”을 제기한 전문가의 주장을 부각했다. 한편으로는 북한 연계 가능성을 낮게 보는 주장을 실으면서도 “북한의 개입을 입증하는 것은 그만큼 어려울 것이라는 얘기”라고 설명했다. 한겨레신문은 3면에서 천안함이 사고가 난 26일 밤 통상적인 항로를 벗어나 사고 해역에서 벌이던 ‘작전’에 대해 군 당국이 명확히 밝히지 않고 있어, 당시 천안함이 사고 원인과 관련된 ‘특수한 임무’를 하고 있지 않았겠느냐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고 전했다. 또 “이번 사건의 원인과 배경을 정확히 파악하려면 사고 당일 무슨 작전 때문에 초계함이 이례적으로 백령도에 근접했는지 밝혀야 한다”며 천안함이 특수임무 중에 침몰했을 가능성을 제기했다. 사설에서는 “구조 작업과 실종자 수색 등 사고 수습 전 과정에서 군은 계속 우왕자왕하고만 있을 뿐 무엇 하나 제대로 하는 게 없어 보인다”, “정부도 공무원 비상대기령 발동, 잇따른 안보장관회의 개최 등 부산을 떨고 있지만 국민들을 안심시키기에는 역부족”이라며 이번 참사에 대한 군과 정부의 대응에 대해 조목조목 비판했다. 이어 “군은 이미 이번 사건을 통해 위기관리 능력에 심각한 허점이 있음을 드러냈다”면서 “시간이 지날수록 북한이 관련됐을 가능성이 희박해지는데도 어떻게든 북한을 끌어들이려는 모습도 썩 유쾌하지만은 않다”고 꼬집었다. 이어 “군 당국은 계속 뭔가 쉬쉬하면서 정보를 차단함으로써 의혹을 증폭시키고 있다”면서 “만약 군의 이런 태도가 이번 사건의 책임을 조금이라도 모면하기 위한 군 수뇌부의 얄팍한 계산에서 나온 것이라면 더 큰일”이라고 우려했다. 경향신문은 4면 기사에서 정부와 군 당국이 천안함 침몰사건 원인으로 기뢰 폭발 쪽으로 무게를 싣는 데 대해 여러 가지 가능성을 제기하면서 “사고원인이 기뢰로 나오더라도 우리 군이 운영하는 것인지 북한 것인지, 포탄과 달리 파편 분석이 쉽지 않다는 점에서 기술적인 식별이 가능할지 미지수”라는 분석을 내놨다. 출처: 민주언론시민연합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