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가계부채 위험 수준"...구조개혁 시급
[매일일보 박동준 기자] 한국의 가계부채가 위험 수준에 도달했다는 지적이 여기저기서 나오고 있다. 정부는 아직까지 가계부채 문제를 관리할 수 있는 수준으로 판단하지만 시장 전문가들은 구조개혁이 시급하다는 견해다.19일 스탠더드 앤드 푸어스(S&P) 보고서에 따르면 2009년부터 지난해 6월까지 한국의 총부채 증가율은 연간 4.5%로 나타났다. 총부채액은 국내총생산(GDP)에 비해 232% 높아 중-고위험 수준인 ‘황색’ 등급을 받았다.이 중 가계부채는 GDP의 86%로 호주를 제외하고 아태지역 10개 조사대상국 중 가장 높았다. 전체 조사 대상 27개국 중에는 5번째로 높았다. 가계부채 등급은 총부채액 경고등급보다 높은 ‘주황색’ 등급을 받았다.정부는 가계부채에 대해선 다소 높은 수준이라고 보면서도 단 시간내 우리 경제의 위협요인으로 이어질 가능성은 낮다고 판단하고 있다.유일호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역시 인사청문회 과정에서 가계부채에 대해 “관리가 가능한 수준”이라고 밝혔다.하지만 빠르게 증가하고 있는 가계부채에 대한 경고등이 곳곳에서 켜지고 있다. 글로벌 경기 불안과 내수 회복세가 더디게 진행되고 있는 상황에서 가계 소득이 정체되고, 특히 집값 하락이 이어질 경우 소비 침체가 극심해질 수 있다는 것이다.LG경제연구원은 이날 보고서를 통해 주택담보대출을 중심으로 급증한 가계 부채는 올해 원리금 상환 부담을 증가시켜 소비를 위축시킬 것으로 우려했다.실제 정부가 지난 2014년 주택담보대출비율(LTV)과 총부채상환비율(DTI)을 완화한 이후 가계부채는 폭발적으로 늘었다.저작권자 © 매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