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활기, 가계소비·기업투자 효과는 제한적
[매일일보 이수빈 기자] ‘1%대 초저금리’는 이제 우리나라에 익숙한 표현이 됐다.오는 12일이면 한국은행이 작년 3월 기준금리를 연 2.00%에서 1.75%로 내린 지 꼬박 1년을 맞는다.지난해 6월에는 기준금리가 연 1.50%까지 떨어졌다.경제 회복을 위해 도입한 1%대 기준금리는 한국 경제에 명과 암을 동시에 드리웠다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부동산 경기 활성화로 경기부양에 일정 부분 기여했지만 급증한 가계 부채는 어두운 그림자로 꼽힌다.보통 중앙은행이 기준금리를 내리면 시장금리, 은행 여수신금리 등을 떨어뜨림으로써 금융시장과 실물경제에 차례로 파급 효과를 낼 것으로 기대된다.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지난해 주택매매 거래량은 119만3691건으로 2014년보다 18.8% 증가하면서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부동산 경기가 활성화되면서 건설 투자가 늘어나고 건설업이 활황세를 맞았던 것으로 분석된다.이근태 LG경제연구원 수석연구위원은 8일 “작년 하반기 소비나 건설경기가 호전된 것은 정부 정책뿐 아니라 저금리 효과로 보인다”며 “지난해 기준금리를 내리지 않았으면 경제 상황이 지금보다 더 좋지 않았을 것”이라고 말했다.작년 중국 경제의 둔화와 국제유가 하락 등의 영향으로 수출이 감소하고 내수까지 부진하며 디플레이션 우려가 제기되고 있었다.이러한 상황에서 기준금리를 내린 덕분에 그나마 한국 경제가 버틸 수 있었다는 견해가 상당하다.그러나 금리 인하 정책의 어두운 면도 존재한다.저작권자 © 매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