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막걸리제조자협회 하명희 이사 [인터뷰]
[매일일보=김시은 기자]
“대기업의 막걸리 시장진출을 반대하는 것이 아니라 그보다 기존의 제조업체들을 보호할만한 제도적 장치가 먼저 마련돼야 한다. 문제는 중소기업보다 협회에도 참석하지 못할 정도로 열악한 환경에서 막걸리를 제조하고 생계를 이어가는 지역 토박이 업체들이다.”
국내 대기업들의 막걸리 시장 진출이 잇따르고 있는 가운데, 기존 중소형막걸리업체들의 설자리는 더욱 좁아져 가고 있다. 이에 지난 8월 13일 전국 40여개 중소형 막걸리제조업체들은 ‘한국막걸리제조자협회’를 만들어 힘을 모으기로 했다. <매일일보>은 지난 8월 25일 한국막걸리제조자 협회장으로 선출된 하명희 이사(현 이동주조 대표)를 경기도 포천시청 구내식당에서 만나 최근 대기업들의 막걸리 시장 진출에 따른 문제점과 기존 중소형막걸리업체들이 처한 현실에 대해서 얘기를 들어봤다. 하 이사는 인터뷰 내내 자신과 같은 중소형업체들보다 더 영세한 업체들에 대해 우려를 나타냈다. 그는 “대기업의 막걸리 시장을 반대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해외사장만큼은 대기업의 막걸리 시장진출을 환영한다”며 운을 띄웠다.이어 “다만 현 제도대로 간다면 영세업체들과 대기업의 관계가 ‘노예계약’으로 전락될까 우려스럽다”는 다소 비관적인 예측을 내놓았다. 하 이사는 “아직 구체적인 기준은 마련되지 않았지만, 지난 6월 식약청이 주류 안전관리 업무를 전담하게 되면서 설명회에 참석한 500여개 업체들이 개괄적인 설명만 듣고도 입이 ‘딱’ 벌어졌다”고 말했다. 그는 “대기업들이야 식약청이 요구하는 기준대로 투자를 해나가면 되지만, 지역마을 영세업체들은 기존 건물을 부수고 새로 양조장을 지어야 된다”며 “그나마 우리 같은 중소기업이야 보완해 나가는 정도라고는 해도 대부분의 영세 양조장들은 안전관리에 부합하기 위해 수개월동안 공장을 멈추고 손을 놀려야 한다”고 주장했다.하지만 이는 바꿔 말하면, 영세업체들은 정부의 잣대에 별다른 신경을 쓰지 않고 기존의 방식 그대로 막걸리를 제조하고 있다는 말이기도 하다. 영세업체들이 정부의 잣대에 관심을 두지 않는다는 건 그들이 뿌리를 내리고, 그들을 신뢰하는 그 지역 주민들에게만 막걸리를 팔겠다는 의미일지도 모른다.
때문에 <매일일보>은 일각의 시각대로 ‘영세업체보단 중소형기업의 밥그릇 지키기 싸움이 아니냐’는 데에 의문을 가졌다.
한편, 하 이사가 운영하는 (주)이동주조는 막걸리를 살리기 위한 돌파구로 업계에선 처음으로 일본 수출의 문을 두드렸다. 살균막걸리가 개발되기 3년 전인 1993년 생막걸리인 ‘포천 이동막걸리’를 시작으로 미국·중국·태국·멕시코 등 막걸리 해외시장을 개척했다.
저작권자 © 매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