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달 임시전대 거쳐 ‘대통합’ 움직임…당 대 당 형식 ‘신설합당’ 방안 유력 검토 중
친노진영 “신설합당” VS 반노진영 “당 해체”…당 진로 놓고 양측 한판 대결 불가피
“대통합 불씨 지피겠다” 우리당 의원 16명 추가탈당…추가 탈당 봇물 이룰 듯
‘대통합신당’을 역설해온 열린우리당이 ‘대통합’의 목표를 이루기 위한 과정에서 친노진영과 반노진영의 한판 대격돌을 겪으며 조만간 역사 속으로 사라질 가능성이 높아졌다. 정치권 일각에서는 이를 두고 “열린우리당의 해가 조금씩 기울고 있다”고 표현할 정도다. 최근 한 여론조사 결과에 따르면, 열린우리당의 지지율은 12.2%에 머무는 수준이다.
왜 그럴까. 14일을 기점으로 지난 2.14 전당대회에서 정세균 당의장 중심의 현 지도부에 4개월간 부여된 ‘대통합 비상대권 위임 시한(통합수임권한)’은 만료됐다. 통합수임권은 우리당이 당 해체 결의만 하지 않는다면, 중앙위나 전당대회를 거치지 않고 ‘대통합’에 필요한 ‘합당결의’를 할 수 있는 권한이다. 그래서 지도부의 통합수임권한 만료는 ‘중앙위의 부활’을 상징한다.그러나 당내 반노(비노)진영의 ‘당 해체에 따른 대통합’과 친노진영의 ‘신설합당에 의한 대통합’간의 입장차가 너무나 큰 상황에서 중앙위의 부활은 ‘우리당 재정비’ 즉 ‘우리당 사수’로 해석된다는 점을 고려, 당 지도부는 또다시 ‘임시 전당대회’라는 카드를 선택했다. 임시 전대카드는 그래서 일종의 ‘타협안’으로 받아들여진다.당초 양 진영은 대통합의 방법론에 대한 의견차가 너무 상이함에도 불구하고 ‘전면전’보다는 ‘휴지기’를 가지면서 “좀 더 상황을 지켜보자”는 판단을 갖고, 임시 전대 개최 안건 자체를 논란의 대상으로 삼지 않겠다는 판단을 했던 것으로 알려졌다.전당대회 불구, 추가 탈당 가속화
하지만 우리당이 내달 중순께 임시 전대를 거쳐 대통합 신당창당 작업에 참여하기로 결의함에 따라, 이런 양측의 각오(?)는 사실상 물거품으로 돌아가게 됐다. 추가탈당 의지를 내비쳐온 정대철 고문과 함께 문희상 전 의장, 김덕규 전 국회부의장 등 열린우리당 의원 16명이 끝내 집단 탈당을 결행하는 등 당의 진로를 둘러싼 내부적인 갈등과 진통이 여전히 반복되면서 당내에 소용돌이가 거세게 일고 있기 때문이다.이들은 지난 15일 오전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2.14 전당대회의 결의를 통해 지도부에 대통합 추진권한을 준 4개월의 시한이 어제로 종료됐지만 대통합은 끝내 이뤄지지 않았다”고 탈당의 변을 밝혔다.우리당은 앞서 지난 14일 오후 국회 헌정기념관에서 국회의원과 당원협의회 운영위원장 167명이 참석한 가운데 ‘대통합신당 추진 연석회의’을 개최했다. 그리고 내달 중순께 임시 전당대회를 소집해 대통합 신당창당 작업에 참여하기로 결의했다.이날 회의에서 우리당은 △당의 진로를 대통합신당 참여로 결의 △대통합신당 참여와 관련한 결의를 위한 임시전국대의원대회 소집 △임시전대의 권한을 현 지도부에 위임 등에 합의했다. 정세균 의장은 이날 연석회의에서 “현 시점에서 당무를 놓는 것은 책임있는 자세가 아니”라며 “질서있는 대통합이 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친노진영 끌어안는 대통합’에 반노세력 반발
문제는 현 지도부가 ‘분열없는 대통합’을 표방하고 있다는 점이다. 다시 말해 친노진영까지 모두 끌어안는 대통합신당을 외치고 있는터라 비노세력의 반발이 거세질 경우 대통합 성사 여부를 쉽게 판단할 수 없는 상황이다.
정세균 당의장도 탈당할까 관심
만약 정 의장이 양 진영간의 입장차를 정리하지 못하고 이에 따라 탈당 행렬이 또다시 지속될 경우 당 지도부 역시 내달 중순 이후 불가피하게 당을 탈당한 뒤 대통합신당에 합류할 가능성이 높다고 정치전문가들은 내다보고 있다.그렇다고 열린우리당이 이대로 역사 속으로 사라질 것이라고 단정을 짓기도 어려운 형편이다. 친노진영은 내심 대통합신당의 합류를 갈망하고 있지만, 비노(반노)진영에서 ‘친노세력 배제론’을 끝까지 고집할 경우, ‘당을 끝까지 사수하겠다’는 강경론을 고수하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 친노의원 14명은 지난 12일 회동을 갖고 △개별탈당은 하지 않는다 △참여정부를 부정하는 정치세력과 함께 하지 않는다 △비굴하게 처신하지 않는다 등 세 가지 원칙에 합의해 우리당 존폐 여부의 변수가 되고 있다.하지만 정치권은 만약 친노진영을 중심으로 우리당이 끝까지 살아남는다 하더라도, 대선을 앞둔 오는 11일께 대통합신당과 다시 합당할 것으로 점치고 있다.저작권자 © 매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