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에 따라 KT 외에 SK브로드밴드나 LG유플러스 등 같은 통신업체들 역시 이번 사태의 결과에 대해 큰 내색을 하고 있진 않지만 환영하는 분위기다.
우선 KT는 이번 사태에 대해 엄중한 제재를 가해야 한다는 방통위의 15일 전체회의 분위기에도 불구하고 그다지 나쁜 결과는 아니라는 입장이다.
KT는 당초 일부 스마트TV에 대한 접속 제한이라는 극단적인 조치를 가할 때도 이미 어느 정도의 불이익은 감수했던 상황이다.
그러나 그동안 인터넷 트래픽 문제에 대한 교통정리가 걸려있는 '망 중립성' 문제라는 이슈 제기가 필요했던 상황이며, 이번 문제제기로 인해 사안을 부각시키는 계기가 됐다는 입장이다.
아울러 이번 스마트TV 접속제한 조치를 계기로 스마트기기 제조사를 주도하고 있는 삼성전자를 협상의 테이블로 끌고 왔다는 것 자체도 성과라고 보고 있다.
이 같은 시점은 이번 사태를 지켜보고 있던 SK브로드밴드나 LG유플러스 등 다른 통신업체들도 별반 다르지 않다. 오히려 KT가 앞서 문제를 제기한 부분에 대해 적극 동조하는 입장이다.
삼성이라는 만만치 않은 상대를 놓고 갑작스레 접속 제한 조치라는 강경카드를 꺼내든 것이 다소 돌출적인 행위였다는 시각이지만, 어차피 트래픽 문제에 대해 같은 우려를 갖고 있는 업체로서 KT가 대신해서 총대를 메줬다는 분위기다.
SK브로드밴드 관계자는 "접속 중단과 같은 행위를 하지 않을 뿐이지, 우리도 KT 입장에 대해서는 동조하고 있다"고 말했다.
상대적으로 LG전자라는 스마트TV 제조업체를 같은 계열사로 두고 있는 LG유플러스의 경우 사실상 적극 동조하기는 어렵다는 업계 안팎의 시각도 있다. 그러나 LG유플러스 역시 LG전자의 경우 별도의 계열사일 뿐, KT의 입장에 뜻을 같이하고 있다는 설명이다.
LG유플러스 관계자는 "삼성이 통신사업자의 인프라를 무단 사용하면서 이익을 편취하려고 했던 것 아니냐"며 "이번 이슈로 인해 논의를 피하고 있던 삼성이 협상 테이블에 올라왔다는 데 의미가 있다"고 언급했다.
또 "LG전자가 같은 계열사이긴 하지만 각자 알아서 살아남는 구조"라며 "LG전자가 계열사이기 이전에 우리는 통신사업자"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매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