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 댐의 데이터를 한 곳에서 ‘통합 데이터지도’ 확대·개편
상태바
데이터 댐의 데이터를 한 곳에서 ‘통합 데이터지도’ 확대·개편
  • 박효길 기자
  • 승인 2021.02.02 12: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인공지능 허브 등과 연계…약 29만건의 데이터 정보 검색
[매일일보 박효길 기자]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은 데이터 댐에 축적된 데이터가 효과적으로 검색·활용될 수 있도록 기능을 확대·개편한 통합 데이터지도 서비스를 개시한다고 2일 밝혔다. 과기정통부는 산업 전반에 필요한 양질의 데이터를 공급하기 위해 교통, 금융, 문화, 산림, 유통·소비, 중소기업, 지역경제, 통신, 헬스케어, 환경 등 분야별 데이터를 수집·가공·분석·유통하는 10대 빅데이터 플랫폼을 2019년에 구축했으며, 각 빅데이터 플랫폼에 축적된 데이터의 소재를 한 곳에서 파악할 수 있도록 2020년 3월 통합 데이터지도 서비스를 시작했다.
지난해 12월까지 통합 데이터지도를 통해 빅데이터 플랫폼의 데이터 상품 약 1만1000건의 정보가 제공되었고 약 5만5000명이 통합 데이터지도를 방문했다. 이번에 개편되는 통합 데이터지도는 과기정통부가 구축한 기존 10대 빅데이터 플랫폼 외에도 국내 다른 데이터 플랫폼과의 연계를 확대해 더욱 다양한 데이터의 소재 정보를 제공한다. 인공지능 학습용 데이터를 축적한 인공지능 허브, 데이터 오픈마켓인 데이터스토어 뿐 아니라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의 무역·투자 빅데이터도 통합 데이터지도와 연계하여, 이용자가 약 29만 건의 데이터정보를 쉽게 검색하고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와 함께 2020년에 추가 구축한 6개 분야 빅데이터 플랫폼은 개소에 맞춰 2월말까지 통합 데이터지도와 연계를 완료할 예정이다. 또한 이용자가 통합 데이터지도와 연결된 데이터 소재 체계를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화면을 구성해 데이터 접근성을 한층 높였다. 통합 데이터지도 서비스의 주화면 하단에 데이터를 실제 보유한 각 플랫폼의 네트워크를 배치했고 이를 클릭하면 원하는 데이터 플랫폼으로 쉽게 접근할 수 있다. 통합 데이터지도를 활용하는 이용자의 편의성 제고를 위해 기존 컴퓨터(PC) 환경 위주의 서비스 구성을 이용자 중심의 기능과 디자인(UI/UX)으로 개선했다. 우선, 데이터 검색 편의성에 중점을 둬 통합 데이터지도 첫 화면에 인터넷 검색서비스와 같은 단순한 검색창 디자인을 도입했고, 스마트폰 등 모바일 기기에서도 최적화된 화면을 제공하도록 반응형 웹 디자인(디스플레이 종류에 따라 화면크기 자동 최적화)을 적용했다. 아울러, 통합 데이터지도는 이용자가 입력한 검색어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찾아줄 뿐 아니라 인공지능 기법으로 훈련된 알고리즘이 검색된 데이터와의 연관성을 반영한 연관데이터를 함께 보여주고 방사형 트리 구조의 연계맵도 시각화하여 제공한다. 송경희 과기정통부 인공지능기반정책관은 “대부분의 데이터 이용자들은 원하는 데이터를 찾는데 상당한 시간이 걸려서, 데이터 활용에 제약이 크다”며, “통합 데이터 지도는 데이터 댐에 모인 데이터를 쉽고 빠르게 찾고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함으로써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성공사례를 조속히 만들어 나가는데 큰 기여를 할 것”이라고 밝혔다. 또한 “연내 통합데이터 지도와 공공데이터포털을 연계해 이용자가 공공과 민간의 데이터를 연계·융합을 활성화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그 외 다양한 플랫폼과도 연계해 국가 데이터 현황을 전체적으로 조망하고 활용할 수 있는 체계를 마련해 나갈 것”이라고 했다.

담당업무 : 게임, 인터넷, IT서비스 등
좌우명 : 꼰대가 되지 말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