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업계 필수 신사업 ‘주목’…정부‧민간 협력 필요성 대두
업계, 대체식품 개념 확립 우선돼야…식약처, 내부 검토 속도
업계, 대체식품 개념 확립 우선돼야…식약처, 내부 검토 속도
매일일보 = 김민주 기자 | ‘푸드테크’ 활성화를 위한 제도적 기반 마련에 업계 관심이 쏠리고 있다.
푸드테크는 Food(식품)와 Technology(기술)의 합성어로, 식품·유통·소비 전 과정에 인공지능, 사물인터넷 등 첨단기술을 결합한 신산업이다. 최근 식품업체들이 앞다퉈 투자를 늘리고 있는 대안육, 배양육, 케어푸드, 디지털 헬스케어, 스마트팩토리 등을 모두 아우르는 개념이다. 푸드테크의 중요성이 커진 배경엔 윤리소비, 친환경 트렌드, 기업의 지속가능경영 등 복합적 흐름이 함축됐다. 식품산업이 직면한 정체기‧과포화기, 인력난, 글로벌 식량 안보 위기 등 다양한 리스크를 방어할 미래 성장 동력으로 꼽힌다. 푸드테크 강국으로의 도약을 위해선 정립된 제도화가 필요하다. 미래식품은 기존 식품과 다른 원료 수급 과정 및 제조공정을 거치기 때문에 새로운 맞춤형 규제가 요구된다. 31일 업계에 따르면, 푸드테크 산업의 가시적 성과 창출을 위한 정부와 민간의 양방향 소통 및 협력이 강화되고 있다. 식음료 기업들은 연구개발·기업지원·인력육성 등 각종 정책이 효율적·유기적으로 연계돼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 최근 농림축산식품부, 식품의약품안전처 등은 업계 수요를 공감하고, 푸드테크 관련 필요한 규제 신설 및 기존 제도 개선 작업에 착수했다. 농식품부는 올해 들어 ‘푸드테크 산업 발전협의회’를 발족하고 푸드테크 산업 육성에 힘을 싣고 있다. 협의회는 관계부처, 유관기관, 기업, 학계, 전문가 등 총 26명으로 구성됐다. 이들은 푸드테크 기준 마련 및 국산 원료 발굴, 푸드테크 기업의 해외 진출 지원 및 식품 관련 R&D 등을 위해 협력한다. 지난해 ‘푸드테크 산업 발전방안’을 수립하며 초석을 다졌다면, 올해부턴 가시적 성과 창출에 속도를 낸다. 구체적 목표치도 제시했다. 푸드테크·그린바이오·반려동물 연관산업 등 신산업 분야에 대한 민간투자 확대를 위해 농식품 펀드를 연내 2000억원, 2027년까지 1조원을 추가 결성할 방침이다. 식약처는 대체식품 범위를 명확히 하기 위한 기준 신설을 추진하고 있다. 대체식품 관련 표시기준이 마련될 시, 소비자들의 안전 보장은 물론 기업들의 적극적인 신사업 추진과 제품화, 수출 확대 기반 마련 등이 기대된다. 이르면 올 8~10월 사이에 관련 기준 고시를 목표로 내부 검토에 착수한 것으로 알려졌다. 최근엔 푸드테크 관련 스타트업 대표들과 함께 규제혁신 회의를 갖고, 스타트업이 성장하는 데 걸림돌이 되는 규제들을 우선 검토키로 했다. 간담회에 참석했던 푸드테크 전문기업 관계자는 “관련 업계에선 대체식품에 대한 기준을 마련하는 것이 선결과제라고 생각한다”며 “정확한 기준이 확립되지 않았다보니, 시장 확대 과정에서 불이익을 받을 위험을 감수해야하고, 제도 밖 외부 수입 제품들에 비해 성장이 더딜 수 있단 현장의 우려가 나온다”라고 전했다.저작권자 © 매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