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바이오 부진 속, '삼성바이오로직스-론자' 업계 최강자 넘본다
상태바
中바이오 부진 속, '삼성바이오로직스-론자' 업계 최강자 넘본다
  • 이용 기자
  • 승인 2024.12.01 09:1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12월 내 美생물보안법 상원 통과 여부 결정
삼성바이오로직스, 역대 최대 수주로 중국 빈자리 확보 중
론자, 생산 시설 확대로 세계 1위 자리 사수 작업 착수
삼성바이오로직스 4공장. 사진=삼성바이오로직스

매일일보 = 이용 기자  |  미국 정치권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당선인을 필두로 중국 바이오 기업 퇴출에 힘을 싣고 있다. 이 가운데 동종 업계 라이벌인 삼성바이오로직스와 론자가 바이오 시장 패권 확보 발판을 마련하면서, 중국의 빈자리를 메울 것으로 전망된다.

1일 미국 현지 언론 등에 따르면, 지난 9월 하원을 통과한 생물보안법안이 상원을 통과할지 여부가 12월 한달 내 결정될 예정이다.
생물보안법이란, 미국 환자 데이터와 납세자의 돈이 외국 적대국(특히 중국)의 바이오기업의 손에 넘어가지 않도록 하는 법안이다. 미국 현지서 중국 바이오 기업의 영향력이 커지면서 미국 정치권이 중국기업의 현지 경제활동을 제한하는 법안을 추진한 것이다. 마이크 존슨 하원의장과 퇴임예정인 브래드 웬스트럽 하원의원을 등 미국 의원들은 올해 몇주 남지 않은 상황에서 생물보안법안 통과에 노력을 기울이는 중이다. 여기엔 매년 통과되는 국방수권법(NDAA)에 생물보안법안을 첨부하는 것이 포함된다. 12월 첫주, 의원들이 복귀할 때 국방수권법과 같이 반드시 통과시켜야 하는 법안에 관련 의원들이 논의를 집중해야 해서 다른 단독 법안을 통과시킬 수 있는 시간은 매우 제한적일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는 랜드 폴 공화당 상원의원이 법안 통과에 홀로 반대하는 중인데, 해당 의원의 결정이 올해 내 통과 여부를 결정하게 된다. 올해 통과가 안될 경우에는 내년 1월 랜드 폴 의원을 위원장으로 하는 새 국토안보위원회에서 다시 논의가 시작된다. 다만 이전부터 중국 바이오기업의 퇴출을 강조해왔던 트럼프 전 대통령이 현지 국민들의 강력한 인기를 업고 있는 만큼, 공화당 출신 의원들도 영향을 받을 수 밖에 없다. 따라서 업계는 생물보안법이 언젠가 통과되거나, 혹은 중국 바이오 기업에 대한 행정 규제 자체는 이뤄질 것으로 본다. 바이오 자국 우선주의를 표명한 트럼프 정권 하에선 중국 뿐 아니라, 글로벌 바이오사들도 사업이 위축될 가능성이 높다. 중국 기업과의 교류로 미국의 눈 밖에 나기 싫은 제약사들은 서둘러 중국과의 관계를 청산하는 상황이다. 특히 의약품위탁개발생산(CDMO) 분야 최강자인 론자와 더불어, 중국과 라이벌이었던 삼성바이오로직스가 대안책으로 각광 받는 중이다.
프로스트 앤 설리반 보고서에 따르면, 7월 기준 CDMO 산업 전체 매출에서 스위스 론자가 25.6%의 비중을 차지했다. 그 다음으로 중국 우시바이오로직스 12.1%, 카탈런트 10.1%, 삼성바이오로직스 9.9%로 나타났다. 삼성바이오로직스의 매출은 국내 제약바이오 업계에서 1위지만, 전 세계에선 4위 수준에 머무른 셈이다. 우시의 쇠퇴는 최근 삼성바이오로직스에게 반사 이익을 가져다줬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최근 연 누적 수주 금액 5조원을 돌파했다. 지난 20일 2건의 공시에 따르면, 유럽 소재 제약사와 총 9304억원(6억6839만 달러) 규모의 위탁생산(CMO) 계약을 체결했다. 이번 계약은 각각 7524억원 규모, 1780억원 규모 총 두 건의 계약으로, 수주 금액을 합하면 전년도 전체 수주 금액(3조5009억원)의 약 30%에 달한다. 고객사 및 제품명은 비밀유지 조항에 따라 공개되지 않았다. 계약 기간은 2031년 12월 31일까지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이번해들어 연달아 역대급 계약을 체결했는데, 회사의 기술력도 한몫 했지만 파트너사들이 중국 라이벌사들을 ‘손절’한 뒤 삼성을 선택한 덕도 있다는게 업계 중론이다. 업계 압도적 1인자인 론자는 최강자 자리 굳히기에 나섰다. 론자는 최근 바이오접합체 출시와 상업용 대량생산을 위해 1200리터 규모의 신규 제조시설 2개를 추가로 건설한다고 밝혔다. 기존 바이오접합체 시설에 제조 기반 인프라를 확장해 2028년 본격 가동할 예정이다. 삼성이 론자보다 우월한 부분은 생산 역량이다. 만약 론자가 용량 증설을 완성하면 2025년 기준 총 78만리터가 된다. 총 캐파 60만4000리터로 세계 1위인 삼성보다도 생산 역량이 커지는 셈이다. 둘 뿐 아니라, 후발주자들의 진입도 치열하다. 최근 셀트리온도 CDMO 산업 진출을 선언하며 라이벌로 론자를 겨냥하고 있다고 밝혔다.

한국바이오협회 관계자는 “미국 생물보안법을 통한 우시바이오로직스 압박, 덴마크 노보홀딩스의 미국 카탈란트 인수 연내 마무리 등 글로벌 바이오 CDMO 시장이 격변 중이다. 국내외 상위 및 신흥 기업들의 생산 캐파 확장 경쟁도 점점 치열해 지고 있다”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