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2E 게임, 게임산업의 미래라는 말 설득력 잃어”
“메타버스 사업을 생활밀착형 서비스로 변화시켜야”
[매일일보 박효길 기자] 위정현 게임학회장이 ‘P2E 게임’에 대해 확률형아이템을 강화한다며 연결고리를 끊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 메타버스가 생활밀착형 서비스로 가야 한다고 주문했다.
한국게임학회는 21일 서울 선릉역 인근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놀며 버는(P2E) 게임’에 대해 부정적 시각을 밝혔다.
위 회장은 “글로벌 시장에서 이전 봄까지만 해도 산업계 이슈로 P2E가 게임 산업의 미래라고 자주 얘기했다”며 “지금 시점에서 본다면 그러한 이야기는 설득력을 잃어가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코인시장이 폭락하고 있기 때문에 미국과 유럽에서 P2E가 거의 반응이 없다”며 “P2E 게임이 각광을 받고 있다는 이야기는 말이 안 된다”고 덧붙였다.
그는 ‘미르4 글로벌’ 이외 성공 사례가 없다는 점과 동남아 지역을 제외하고 진입자체가 잘 안 된다고 분석했다. 게다가 P2E 게임이 최근 코인시장에 연동돼 ‘테라-루나 사태’ 이후 코인 기대감이 추락했다면서 코인 운영사에 대한 큰 불신감을 드러냈다.
위 회장은 이런 관점에서 P2E 게임 활성화를 주장하는 게임업계가 정부 규제를 이야기하는 것은 잘못됐다고 주장했다. 그는 가상현실(VR)을 예로 들었다. 위 회장은 “과거 VR에 대해서도 기기로 볼 것인가 콘텐츠로 볼 것인가에 대한 논란에 대해 지금도 해결이 되지 않았다”며 콘텐츠로 보면 사행성을 따지고, 기구로 보면 안전성을 따지면서 관할 부처도 달라 혼선을 빚고 있다는 주장이다.
베트남 당국의 대처를 예로 들었다. 베트남에서는 정보통신부가 게임을 관할한다. 베트남은 3~4년 전 소셜카지노로 사행성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같은 이유로 P2E는 안 된다고 얘기한다.
또한 당국의 엇박자 정책에 대해 지적했다. 그는 콘텐츠진흥원의 P2E 게임을 제작지원한 것은 잘못된 정책이라고 봤다. 사행성을 게임물관리위원회가 규제하고 있는데 콘진원이 P2E를 지원하는 것은 모순된다는 주장이다.
아울러 P2E 게임은 확률형아이템이 강화되고 있다고 봤다. 위 회장은 “그 연결고리를 끊는 게 선결조건일 수밖에 없다”며 “유저를 착취하는 모델이 P2E라고 할 수 있다”고 말했다.
또 그는 메타버스에 대해 버블이 꺼지고 하락기에 들어갔다고 진단했다. 그는 “P2E, 대체불가토큰(NFT), 메타버스가 서로 연동돼 있다”며 “메타버스의 가장 큰 문제는 비즈니스모델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점”이라고 주장했다.
위 회장은 정부의 막대한 예산 투입에 대해서도 지적했다. 그는 “문제는 정부 산하기관에 막대한 예산이 투입되고 있다는 점”이라며 “작년 제작 지원에 막대한 돈이 들어갔지만 성공한 모델은 기억하지 못 한다”고 말했다.
이에 메타버스 사업을 단순히 가상 캐릭터를 구현한 수준에서 벗어나 생활밀착형 서비스로 변화시켜야 한다고 제언했다. 아울러 고령화에 주목할 것을 주문했다.
위정현 게임학회장은 “고령화 시대로 코로나로 고립돼 있고 사람들이 방문하기 힘들다”며 “사람들이 필요한 부분에 메타버스를 고민해야 된다”고 역설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