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조사 결과, 갈색무늬병·노균병 등 발생 늘어… 병 감염된 열매는 초기에 제거하고, 약제 뿌려 피해 최소화
매일일보 = 전승완 기자 | 농촌진흥청은 습한 환경에서 포도의 곰팡이병 감염이 증가하므로 병에 걸리지 않도록 철저히 관리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갈색무늬병과 노균병은 장마기 이후 급격하게 발생한다. 포도가 갈색무늬병에 걸리면 잎에 검은 점무늬가 생기는데, 병이 발전하면서 무늬가 확대되고 잎이 떨어진다. 노균병의 경우, 잎이 물에 데친 것처럼 투명해지다가, 4~5일 뒤 잎의 앞면은 노랗게 변하고 뒷면에는 흰색 곰팡이가 형성된다. 노균병은 주로 잎에 발생하지만, 꽃송이와 열매가 감염되면 열매꼭지가 떨어지는 피해를 볼 수 있다. 농촌진흥청이 2022년 주요 생산지에서 조사한 결과, 갈색무늬병은 ‘캠벨얼리’(충북 농가 기준)의 경우, 7월 0.1%, 8월 6.2%, 9월에는 9.6%까지 발생이 증가했다. 노균병은 ‘거봉’(경기도 농가 기준)의 경우, 8월 3.2%, 9월에는 4.7%까지 발생이 늘었다. 특히 올해는 지난해보다 장마 기간이 길고 세찬 비로 피해를 본 과수 농가가 많아 갈색무늬병과 노균병 적용 약제로 예방적 방제를 철저히 해야 하며, 과수원이 물에 잠기거나 비 피해를 본 포도 농가는 탄저병과 역병 감염에도 주의해야 한다. 포도 탄저병은 열매에 검은 반점을 형성하는데, 병이 발전할수록 열매 표면이 움푹 들어가고 내부가 갈색으로 변한다. 탄저병에 걸린 열매는 표면에 많은 양의 번식체(분생포자)를 형성하는데, 이 번식체가 빗물에 의해 이동해 다른 열매를 감염시킬 수 있다. 포도가 역병에 걸리면 초기 열매에 갈색 무늬가 형성되고, 병이 발전하면서 열매 전체가 갈색으로 변하며 찢어지는 현상이 생긴다. 주로 토양에 잠복하던 병원균이 빗물에 튀어 포도송이에 닿으면서 감염돼 발생한다. 특히 봉지를 씌우지 않는 농가에서는 장마 이후 탄저병과 역병 피해를 크게 볼 수 있으므로 각별하게 주의한다. 농가에서는 과수원이 지나치게 습하지 않도록 관리하고 주기적으로 살펴 병 발생 초기에 감염 열매를 제거해야 하며, 살균제는 재배 품종의 수확기를 고려해 ‘농약안전사용기준’에 따라 뿌린다. 포도 방제 약제 정보는 농촌진흥청 농약안전정보시스템 농약 검색 메뉴에서 확인할 수 있다.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원예특작환경과 김동환 과장은 “포도 재배 농가에서는 봉지를 씌우고 바람과 빛이 잘 통하게 하며, 물이 잘 빠지도록 하는 등 재배 품종에 맞는 적절한 환경 관리로 병 발생을 최소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저작권자 © 매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