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유럽, 중국, 자국 산업 중심 정책 강화… 국제경제 블록화 우려
韓기업 10곳 중 3곳, 수출 감소 품목 대상 국가로 '중국' 지목
對아세안 수출 활성화… '품목 및 교역국' 다변화 전략 유효
韓기업 10곳 중 3곳, 수출 감소 품목 대상 국가로 '중국' 지목
對아세안 수출 활성화… '품목 및 교역국' 다변화 전략 유효
매일일보 = 이용 기자 | 글로벌 악재가 터질 때마다 우리 기업 수출입 활동에 큰 영향을 끼치고 있다. 특정 국가에만 의존하는 산업 구조를 탈피해, 교류국·산업품목·공급망 다각화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21일 업계에 따르면 미국, 유럽, 중국 등은 자국 내 투자를 활성화하기 위한 목적을 담은 각종 정책을 추진하면서 국제경제 판도가 바뀌고 있다. 이 과정에서 국내 산업계는 취급 품목에 따라 희비가 엇갈린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상공회의소가 수출 제조업체 1222개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코로나 사태 전후 수출 변화상 조사’를 살펴보면, ‘수출물량이 감소한 품목이 있다’고 답한 기업은 36.3%로, ‘수출물량이 증가한 품목이 있다’고 답한 기업 20.2%보다 16%가 높았다. 수출 감소의 주요 원인은 대부분 글로벌 외교의 관계의 악화에서 비롯된 것으로 분석된다. 실제 우리 기업들이 수출이 감소한 품목의 대상 국가로 가장 많이 꼽은 곳은 중국이었다. 전체 기업 중 39.4%가 중국을 지목했는데, 2위인 미국(21.0%)과 반일감정으로 경제 교류까지 막혔던 일본(14.4%)보다도 크게 감소했다. 이런 가운데, 최근 한미일 3국 정상이 중국에 대한 견제를 현실화해 조만간 중국의 경제 보복이 이뤄질 것이란 우려가 나온다. 기업계가 특히 염려하는 부분은 핵심 원자재에 대한 수출 통제다. 현재 국내는 물론, 미국과 중국 모두가 집중하고 있는 핵심 산업은 반도체와 배터리, 바이오 분야다. 그런데 리튬 등 배터리로 쓰이는 광물자원과 반도체의 핵심인 희토류, 의약품 원자재 등의 절대다수가 중국에서 나온다. 중국은 최근 미국의 견제에 맞서 광물자원과 희토류 등에 대한 수출 통제에 나선 상태다.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핵심광물은 특정국가에 매장·생산이 집중돼 있으며, 대체재 확보가 어려운 실정이다. 중국의 글로벌 생산 점유율은 2021년 기준 희토류 60%, 텅스텐 84%이다. 또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전체 원료의약품 전체 수입액 20억 155만달러 중 중국에 의존하는 비율은 34%라고 전했다. 한국이 미국의 최우방국으로서의 지위를 공고히 할수록, 중국산 자원 의존도가 높은 국내 산업계만 중국의 견제를 받게 된다. 하반기에도 불황을 면하기 어려울 것이란 분석이 나온다.저작권자 © 매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