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모레퍼시픽, 불황 탈출 묘수는
상태바
아모레퍼시픽, 불황 탈출 묘수는
  • 민경식 기자
  • 승인 2024.01.31 14:3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변수 많은 中 대신 美·日 등 시장 다변화
자회사 에스트라, 올 상반기 태국 진출
아모레퍼시픽 본사 전경. 사진=아모레퍼시픽
아모레퍼시픽 본사 전경. 사진=아모레퍼시픽

매일일보 = 민경식 기자  |  아모레퍼시픽이 올해 실적 반등을 위한 묘안을 찾아낼지 관심이 모아진다. 핵심 수출국인 중국에서의 매출 부진과 국내 내수 시장의 성장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글로벌 유통망 확대에 전사적 역량을 쏟을 것으로 보인다.

31일 업계에 따르면, 아모레퍼시픽은 지난해 영업이익이 49.5% 떨어진 1082억원을 기록했다. 동기간 매출은 11.1% 감소한 3조6740억원이다. 지난해 4분기 기준으로도 영업이익과 매출은 각각 63.7%, 14.9% 하락한 207억원, 9260억원을 나타냈다. 실적 악화 배경에는 면세 및 중국 매출 악화 등이 꼽힌다.
문제는 중국 시장이 예상보다 경기 회복 속도가 더딘 상황에 더해, 애국 소비주의(궈차오) 확산에 따른 C뷰티(차이나 뷰티) 약진까지 악재가 더해지고 있다. 시장 조사기관 유로모니터에 따르면, C-뷰티 매출이 지난 2017년부터 2022년까지 5년간 51% 뛰어올랐다. 동기간 42% 성장한 중국 전체 화장품 시장보다 높은 수치다. 또한, 중국에서 유통되는 화장품 톱20 가운데, C-뷰티의 점유율은 2017년 14%에서 2022년 28%로 2배 커졌다. 이처럼 중국 시장 내 변수가 발생하자 아모레뿐만 아니라 K-뷰티 전반에 탈중국 바람이 확산되는 모양새다.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이 공개한 ‘보건 산업 수출 전망’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화장품 수출 실적은 85억1200만달러(11조3600억원)로 전년 대비 7% 증가한 것으로 추산된다. 지난해 10월 기준 국가별 수출 실적을 살펴보면, 중국이 23.9% 감소한 반면, 미국(37.5%), 베트남(26.9%), 일본(3.9%) 등은 증가세를 나타냈다. 국내 내수 시장에도 찬바람이 불면서 닫힌 소비자 지갑을 효율적으로 공략하기 어려운 형국이다. 한국경제인협회가 지난달 발표한 전국 만 18세 이상 1000명 대상 ‘2024 국민 소비지출 계획’에 따르면, 절반 이상(52.3%)이 올해 소비지출을 지난해 대비 축소하겠다고 답했다. 2022년 같은 조사의 집계치(56.2%)보다는 3.9%포인트 줄었지만, 노 마스크 시대 도래로 경기 회복에 대한 높은 기대감을 감안하면 내수가 여전히 답보를 거듭하고 있는 것이다.
아모레퍼시픽은 내수 및 중국 시장에 안주하지 않고, 대신 일본, 미국, 베트남, 영국 등 미래 시장 강화를 토대로 분위기 반전을 노린다. 특히, 일본의 경우 보수적인 시장 특성상 자국 브랜드에 대한 선호도가 높아 화장품 공략이 쉽지 않았지만, 현재 한류 열풍으로 K-뷰티에 대한 관심이 늘어나고 있다. 일본수입화장품협회에 따르면, 2022년 일본의 한국산 화장품(향수·샴푸 포함) 수입액은 775억엔(한화 약 7000억)을 달성하며, 프랑스산 화장품(764억엔, 6900억원)을 제치고 1위를 차지했다. 이같은 추세를 고려해 아모레는 이니스프리, 에뛰드, 라네즈 등 기존 브랜드에 더해, 지난해 헤라와 에스트라를 추가해 다양한 포트폴리오를 바탕으로 일본 시장을 공략하고 있다. 에스트라는 도큐핸즈, 앳코스메 등 현지 주요 채널을 활용해 300여개 이상 매장 진출을 추진하고 있다. 그 결과, 지난해 기준 일본 매출이 30% 신장하며 청신호를 켰다. 또한, 북미 시장 영향력 확대에도 공을 들이고 있다. 미국 아마존 화장품 부문 1위 기업인 코스알엑스를 자회사로 포함시키기 위해 9351억원을 투자했다. 그간 회사가 단행한 인수합병 가운데 최대 규모다. 앞서 손에 넣은 뷰티 브랜드 ‘타타 하퍼’ 몸값(1681억원)과 비교해도 5배가 훌쩍 넘는 금액으로 북미 시장 내 점유율 제고에 힘을 줄 것으로 관측된다. 지난해 미국 매출은 립 카테고리 제품 라인업을 넓히며 성장한 라네즈와 MBS 채널 접점을 강화한 설화수·이니스프리 등 선전으로 전년 대비 58% 증가했다. 이밖에, 자사 브랜드 라네즈는 영국 럭셔리 뷰티 멀티숍 ‘스페이스 엔케이’ 와 중동의 세포라 채널에 입점하는가 하면, 에스트라는 태국 진출을 올 상반기 앞둔 상태로 계속해서 글로벌 영토 확장에 고삐를 죄고 있다.  아모레퍼시픽 관계자는 “고객 공감 콘텐츠 개발 및 엔진 상품 강화를 통해 더 높은 브랜드 가치를 만들어 갈 예정”이라며 “새로 설정된 집중 성장 지역을 기반으로 유통 파트너십을 강화하고 다양한 사업 모델을 시도해 글로벌 성장 동력을 확보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