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 10곳 중 9곳 "투자 리스크 높다"
"투자 지원 등 정부 지원 정책 마련 시급"
매일일보 = 서영준 기자 | 전 세계적으로 탈탄소에 대한 요구가 커지는 가운데 국내 기업 상당수가 높은 투자 리스크 때문에 관련 대응책 마련에 속도를 내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7일 대한상공회의소가 국내 온실가스 다배출기업 390사를 대상으로 '탄소중립 대응실태와 과제'를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탄소중립 투자 리스크를 어떻게 평가하는지에 대해 '높다'(71.7%) 또는 ‘매우 높다'(17.4%)고 응답한 기업이 89.1%에 달했다.
탄소중립 추진이 기업 경쟁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응답한 기업은 60.3%로 부정적으로 응답한 기업 39.7% 보다 많았다. 탄소중립 추진이 기회로 작용할 것을 알지만 당장은 투자 리스크가 높다고 평가한 것이다.
실제 온실가스 감축투자에 대해 '추진 중'이라고 응답한 기업은 38.2%였다. 응답기업의 35.4%는 '투자 계획 중'이라고만 밝혔고, 나머지 26.4%는 아예 '온실가스 감축투자 계획이 없다'고 답했다.
투자 계획이 없는 이유로는 '투자자금 조달 어려움'(32.2%)을 가장 많이 꼽았다. 이어 '감축수단·기술 부족’(30.5%), '투자 수익 불확실'(28.8%) 순으로 나타났다.
기업 규모별로 보면, 대기업은 '투자 수익 불확실'(35.3%), 중견기업은 '투자자금 조달 어려움'(36.4%), 중소기업은 '감축수단·기술 부족'(45.0%)을 가장 많이 꼽았다.
기업들은 주요국과 비교해 국내 탄소중립 이행여건 및 정부 지원 수준이 뒤처진다고 하소연했다.
항목별로 보면 '무탄소에너지 인프라(72.8%)'가 가장 뒤처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보조금, 세제혜택 등 재정적 지원'(67.2%), '탄소중립 혁신기술 R&D 지원'(60.8%), '탄소중립 관련 법·제도'(49.8%) 등이 꼽혔다.
기업들은 탄소중립을 위한 정부 중점과제로 ‘감축투자 지원(세제·자금 등)’(34.7%), ‘무탄소에너지 공급 인프라 구축’(22.3%), ‘제도 합리화’(18.2%), ‘탈탄소 혁신기술 개발’(15.7%) 등을 꼽았다.
조영준 대한상의 지속가능경영원장은 "미래의 불확실성과 투자 리스크 때문에 탄소중립을 선도적으로 이행하려는 기업들의 의욕이 꺾이지 않도록 정부의 전폭적인 지원이 필요하다"며 "탄소중립 산업전환 지원을 위한 특별법 제정, 직접투자 및 세액공제 확대, 무탄소에너지 인프라 확충 등 종합적인 지원정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