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저성장 기정사실화…민간연구소 2%대도 제기
[매일일보 이경민 기자] 한국은행이 우리나라의 연 평균 잠재성장률이 3%대 초반까지 떨어진 것으로 전망했다.잠재성장률은 자본과 노동 등 생산요소를 최대한 사용해 물가상승을 유발하지 않고 달성할 수 있는 국내총생산(GDP) 증가율을 뜻한다.강환구 한국은행 모형개발팀장이 6일 발표한 ‘우리 경제의 성장잠재력 추정 결과’ 보고서에 따르면 2015∼2018년 잠재성장률을 연평균 3.0∼3.2%로 추산했다.잠재성장률은 2001∼2005년 4.8∼5.2%에서 2006∼2010년 3.8%까지 떨어졌고 2011∼2014년에는 3.2∼3.4%로 추정됐다.이에 따라 우리나라도 중국의 경기 둔화와 세계적인 교역 축소에 따른 수출 부진, 미약한 내수 회복세 등 대내외 환경이 어려운 상황에서 저성장 시대가 본격화된 것이 아니냐는 관측이 나온다.잠재성장률을 높이는 것은 보통 노동, 자본 등 생산요소의 투입량이 늘거나 기술진보로 가능하지만, 한국 경제를 둘러싼 여건이 녹록지 않다.강 팀장은 보고서에서 “2000년 이후 잠재성장률의 추세적 하락은 인구 고령화 등 사회구조적 변화와 투자 부진, 서비스업 생산성 정체 등 경제구조적 문제 등에 복합적으로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고 설명했다.한은이 생산함수 기준으로 잠재성장률의 요소별 기여도를 분석한 결과, 총요소생산성의 기여도가 2001∼2005년 2.0% 포인트에서 2011∼2014년 0.8% 포인트로 가장 크게 낮아졌다.총요소생산성은 노동생산성 뿐만 아니라 근로자의 업무능력, 자본투자금액, 기술 등을 복합적으로 반영한 생산 효율성 수치다.또 자본 기여도는 2001∼2005년 2.2% 포인트에서 2011∼2014년 1.7% 포인트로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LG경제연구원은 지난 5월 ‘우리나라 장기침체 리스크 커지고 있다’는 보고서에서 2010∼2014년 3.6%였던 잠재성장률이 2015∼2019년에는 2.5%로 떨어질 것으로 추산했다. 또 2020∼2030년에는 1.7%로 낮아질 것으로 내다봤다.
저작권자 © 매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