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권, 다변화·신기술 도입 나서…과당경쟁 비판 등은 부담
[매일일보 이경민 기자] 순이자마진이 급감해 수익을 내기 점점 어려워진 상황에 부닥친 은행들이 오는 14일 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ISA) 출시를 앞두고 총성없는 전쟁에 돌입했다.ISA는 계좌 하나에 다양한 금융 상품을 넣어 운용하면서 세제 혜택을 볼 수 있도록 설계된 ‘만능 계좌’다. 연봉 5000만원 이상 근로자와 종합소득 3500만원 이상 사업자는 의무가입 기간인 5년 만기를 채울 경우 ISA 계좌에서 나온 전체 수익금의 200만원까지 비과세 혜택을 받는다. 금융당국은 출시 한 달을 앞둔 지난 14일 증권사의 영역이던 일임형 ISA를 은행에도 전격적으로 허용함으로써 은행과 증권사의 업권 간 수익률 경쟁을 격화시켰다. ISA는 예·적금 같은 원금 보장형 상품을 주로 담는 신탁형과 펀드, 주가연계증권(ELS) 등 수익 추구형 상품으로 구성되는 일임형으로 나뉜다. 일임형 ISA는 고객으로부터 투자 의사 결정권을 위임받아 시장 상황에 맞게 자금을 운용하게 된다. 은행들은 계열사와의 시너지를 모색하거나 점포의 다변화에 나서는 등 강점을 살려 고객을 끌어모으기 위해 적극적 나서고 있다.증권사들과 동등한 환경에서 수익률 대결을 벌이게 된 은행의 최대 강점은 점포가 훨씬 많아 다양한 고객 접점에서 고객 유치가 가능하다는 점이다. 은행권 전체 지점은 7300여 곳이고, 증권사 지점은 1200여 곳이다. 은행들은 이미 점포 조직을 재편함으로써 ISA의 도입에 대비하고 있다. 이른바 ‘허브 앤드 스포크(Hub &Spoke)’ 방식으로 가까운 영업점을 묶어 그룹화하고 시너지를 창출하는 협업 모델을 KB국민·신한·NH농협은행 등이 앞다퉈 도입하고 있다. ISA의 도입에 따라 자산관리 수요가 확대될 것으로 보이는 만큼, 은행들은 자산관리 서비스의 확대에도 힘을 기울이고 있다. 자산관리서비스를 제공하는 고객을 기존의 자산가에서 ‘준자산가’로 불리는 이들까지 범위를 넓히고, 이들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문 점포도 확대하는 식이다. 로보어드바이저와 관련한 시스템을 조기에 구축하는 방안도 나온다.계열 증권사 등과의 시너지를 확대하는 것도 은행의 주요 전략 중 하나다. 신한금융에서 그룹 내 협의체를 구성해 신한금융투자에서 ISA 전용 특화상품을 개발하고 양 영업점에서 공동 판매하도록 하는 것이 가장 대표적인 사례다. 저작권자 © 매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