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대 금융지주 시총 14일까지 한 달 새 6조9614억원↓
매일일보 = 김경렬 기자 | 금융지주 시가총액이 쪼그라들고 있다. 윤석열 대통령 등 정부와 금융당국의 ‘은행 공공재’ 발언에 어수선한 탓이다. 당장 금융권에서 제시할 당근책은 없다. 최근에는 SVB 붕괴도 투자자들의 고민을 키우고 있다.
15일 금융권에 따르면 지난 15일 종가기준 4대 금융지주의 시가 총액은 한 달 전 대비 6조9614억원 감소했다. KB금융은 지난 14일 19조7906억으로 장을 마감했다. 한 달 전인 3월 14일 종가(21조6715억) 대비 1조8809억원 줄어든 수준이다. 같은 기잔 신한지주는 17조8583억원에서 20조716억원으로 2조2133억원 감소했다. 하나금융 역시 12조1468억원에서 13조 8631억원으로 1조7163억원 줄었다. 우리금융도 8조159억에서 8조9775억원으로 1조1509억월 감소했다. 업계에서는 정부와 금융당국의 금융지주 압박이 주가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고 있다. 김한규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14일 ‘윤석열 정부의 관치금융, 무엇이 문제인가?’라는 세미나를 통해 4대 금융지주의 시총이 급격이 떨어진 이유로 ‘정부의 시장 개입’을 꼽았다. 금융지주는 ‘돈잔치’에 대한 압박을 받고 있다. 윤석열 대통령은 지난달 13일 대통령실 참모진과 회의에서 “은행 고금리로 국민들 고통이 크다. 수익을 어려운 국민, 자영업자, 소상공인 등에게 이른바 상생금융 혜택으로 돌아갈 수 있도록 배려하고 향후 금융시장 불안정성에 대비해 (대손)충당금을 튼튼하게 쌓는 데에 쓰는 것이 적합하다”고 언급했다. 이어 같은 달 15일에는 은행 예대마진 축소와 취약차주 보호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금융소비자의 고금리 부담 완화를 위해서다. 금융당국도 입김을 불어넣었다.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은 지난달 14일 임원회의를 통해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은행 등 5대 은행의 과점 체제를 깨야한다고 언급한 것으로 전해진다. 시장을 완전 경쟁 체제로 바꾸는 방안을 검토한다는 입장이다. 은행들은 은행연합회를 통해 10조원+α 규모 상생금융 강화 방안을 밝혔다. 모바일 뱅킹 수수료 면제는 물론 가산금리 등을 조정하고 있지만 여론은 은행에 불리한 쪽으로 흘러가고 있다. 5대 은행의 주택담보대출 변동금리는 올해 초 8%대에서 4.92~6.89% 수준으로 내렸다. 주력계열사인 은행이 전방위 압박을 받은 통에 금융지주는 잔뜩 위축됐다. 막대한 예대금리차를 이용, 이자수익에 기반, 성과급 및 퇴직금을 지급하려다 당국의 눈치를 봐야했기 때문이다.저작권자 © 매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