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선 시대 서적 출판과 유통을 통해 본 정보의 확산
매일일보 = 김종혁 기자 | 한국국학진흥원(원장 정종섭)은 ‘조선의 출판문화’라는 주제로 스토리테마파크 웹진 담談 10월호를 발행했다. 조선의 출판 역량과 지식 유통과정에 대한 모습을 다양한 시각에서 살펴보았다.
서적의 유통이 곧 정보의 확산
<조선 시대 서적의 보급과 교육기관의 장서 관리>에서 육수화 연구원(한국고전번역원)은 조선의 출판 활동에 대한 전체적인 조망과 함께 서적의 보급 및 관리가 어떻게 이루어졌는지 살펴본다. 조선 시대 서적의 출판은 교서관에서 담당햇다. 서적 보급은 임금이 내려주는 반사의 형식이었다. 조선 후기에는 1776년(정조 즉위년) 정조가 교서관을 규장각에 편입시키며, 규장각이 서적의 출판과 유통까지 관장하는 기구가 됐다. 반사의 대상은 주로 세자시강원, 성균관, 사부학당, 향교, 사액서원 등 교육기관이었다. 세자시강원에는 도서관 외에도 시강원책역소(侍講院冊役所)라는 서적을 출판할 수 있는 별도의 기관이 존재했다고 한다. 향교와 서원은 별도의 건물을 지어 서적을 보관하고 도서 목록을 만들어 서적의 출납을 엄격히 확인하는 등의 유사한 규정으로 관리했다.유학자의 문집이 절에서 출판?
<안동의 대표 출판소, 봉정사>에서 이상백 교수(부산대)는 안동 봉정사(鳳停寺)의 출판 공간으로서의 특수했던 역할에 대해 알아본다. 봉정사 인근에는 많은 사찰이 분포해있다. 또한 학봉 김성일(金誠一, 1538-1593)의 종택(宗宅)을 비롯해 서원 및 재사 등이 두루 자리하고 있어 불교 문화와 유교 문화가 고르게 서려 있다. 이러한 환경의 영향인지 조선 시대 봉정사에는 사대부, 승려 가리지 않고 많은 이들이 방문했고, 안동 지역에서 다양한 서적을 출판한 대표 출판소로 자리매김했다."이 책 좀 구해주겠소?"
이외에도 웹진 담談에서는 ‘조선의 출판문화’에 대한 다양한 에피소드를 다룬다. <방판 스님>에서는 최흥원의 역중일기(曆中日記) 속 1762년 8월 27일 기록을 발췌해 동화사의 스님인 한총이 불가가 아닌 유가 서적을 판매한 사연을 웹툰으로 선보인다. <책 읽어주는 사람, 전기수(傳奇叟)>에서는 뮤지컬 <금란방>을 소개하며 전기수의 유명세와 더불어 그들이 돈을 벌려면 꼭 필요한 이야기, 그것이 담긴 것이 책이라고 떼려야 뗄 수 없는 3요소를 언급한다. 비야의 사건일지 <여섯 권의「규방미담」>에서 산비는 세책방에 들렸다가 같은 자리가 찢긴 책들을 수상히 여기고 추리를 이어 가다 결국 어음을 훔친 대도를 잡는다. 나무판에 새긴 이름, 편액 <무진장(無盡藏) 이어질 기억 저장소, 장판각(藏板閣)>에서는 도산서원의 장판각과 병산서원의 장판각을 통해 조선의 출판 문화를 안내한다. 웹진 담談 10월호는 한국국학진흥원 스토리테마파크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저작권자 © 매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좌우명 : 아무리 얇게 저며도 양면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