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도입 1년 연기, 발등 불 껐지만 유예 기간 도입 필요"
美·日, 재계 반발·IFRS 도입 당시 혼란 감안 도입 시기 미정
美·日, 재계 반발·IFRS 도입 당시 혼란 감안 도입 시기 미정
매일일보 = 박규빈 기자 | 금융 당국이 코스피 상장사들을 대상으로 환경·사회·지배 구조(ESG) 공시를 2026년으로 미룰 방침을 내놨지만 현실적이지 않다는 지적이 나온다. 외국에서도 ESG 공시 관련 제도 도입에 다소 조심스러운 모습을 보이고 있는 만큼 당국이 기업 입장에서 정책 입안을 살펴보고 부담을 줄여줘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11일 재계에 따르면 금융위원회는 오는 17일 ESG 금융 추진단 3차 회의를 대최해 'ESG 의무 공시 연기'와 관련한 정책 방향에 관해 발표할 것으로 알려졌다. 기획재정부가 주도하는 민관 합동 ESG 정책 협의회는 ESG 공시 제도 로드맵의 최종안을 내달 공개한다. 해당 로드맵은 기업의 ESG 관련 정보를 재무제표에 준하는 수준으로 공개토록 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본격 시행 시 기업들은 온실 가스 배출량이나 감축 계획과 같은 비 재무적 요소를 알려야 할 의무를 지게 되고, 허위 공시할 경우 자본시장법에 따라 처벌 대상이 된다. 당초 금융위와 금융감독원은 2025년부터 자산 총계 2조원 이상 코스피 상장사들을 대상으로 ESG 정보 공시 의무화을 추진하겠다는 입장이었다. 그러나 재계 반발에 1년 늦춘 2026년부터 시행에 들어가겠다며 한발 물러서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국내 기업들이 ESG 공시 도입을 우려하는 이유는 현 시점에서 탄소 배출 저감 의무를 준수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노동 인권에 대한 부담 역시 크게 느끼는 중소·중견 기업들 중심으로는 한숨 소리가 커져가고 있다. 이들은 공시 의무화가 1년 미뤄져 당장 발등의 불은 끈 상태이지만 계도나 책임을 면제해줄 2~3년 간의 처벌 유예 기간이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지난 8월 대한상공회의소 ESG 경영팀이 100개사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88%는 ESG 공시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있지만 90.6%는 외부 전문 기관의 도움을 필요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ESG 공시를 부담스러워 하는 이유는 업종별 ESG 공시 세부 지침·가이드 라인도 없기 때문이다. 또한 ESG 공시에 투자에는 1억원 이상 2억원 미만이 50.9%로 가장 많았고, 2억원 이상도 28.3%으로 비용 부담도 상당하다는 전언이다. 때문에 현재 ESG 자율 공시를 실행 중인 기업은 53.0%였고, 준비 중인 기업은 26.0%, 해당하지 않은 경우는 21.0%로 집계됐다.저작권자 © 매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