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일보 = 이광표 기자 | 코로나19 사태 이후 대면 상거래가 정상화되면서 장롱이나 금고에 숨어있던 5만원짜리 지폐가 다시 쏟아져나오고 있다.
한국은행은 지난해 중 5만원권 환수율(발행 대비 환수 비율)이 67.1%로 집계됐다고 11일 밝혔다. 2018년의 역대 최고치(67.4%)에 근접했다.
5만원권 환수율은 2019년 60.1%에서 2020년 24.2%, 2021년 17.4% 등으로 가파르게 떨어졌다가 2022년 56.5%로 회복된 뒤 지난해 더 올랐다.
한은은 화폐 환수 경로의 정상화를 환수율 상승 배경 중 하나로 꼽았다. 음식·숙박업, 운수업, 여가서비스업 등 전통적으로 현금 매출 비중이 높은 업종을 중심으로 화폐 유통이 정상화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는 것이다.
현금 수송 회사(CIT) 2개 사의 상거래 기업 화폐 관리 업무 실적이 2019년 5조5000억원에서 2020년 3조원, 2021년 2.7조원 등으로 하락했다가 2022년 5조2000억원으로 회복된 점을 예로 들었다.
한은은 또 시중금리 상승에 따른 현금 보유의 기회비용 증가도 거론했다. 예비용이나 가치저장 목적의 화폐 수요가 줄면서 코로나19 기간 중 대규모로 순 발행한 자금이 환수됐다는 설명이다.
한은은 비현금 지급수단 확산 추세, 5만원권 유통 수명 도래에 따른 손상권 증가 등이 향후 환수율 상승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전망했다.
5만원권은 2009년 6월 최초 발행됐으며, 유통 수명을 15년 내외로 본다. 조만간 수명을 다한 손상권이 나타날 가능성이 커졌다는 의미다.
한은은 "시장금리의 변동성 확대 등에 따른 민간 화폐수요의 급격한 변화 가능성을 면밀히 모니터링해 국민의 화폐 사용에 불편함이 없게 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