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월부터 ‘녹조’ 우려…온전히 ‘고온 탓’ 맞나
상태바
4월부터 ‘녹조’ 우려…온전히 ‘고온 탓’ 맞나
  • 김경탁 기자
  • 승인 2014.04.01 17:3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낙동강 수질관리TF 이전보다 2달이나 앞당겨 가동
환경단체 “작년 가을 선선해진 후에도 녹조 계속돼”
▲ 지난해 10월 30일 낙동강 구미보 상류에 목격된 선명한 ‘녹조띠’. 정부는 4대강 녹조가 폭염 때문이라고 설명하고 있지만 환경단체들은 날씨간 선선해진 가을에 접어들어서도 녹조가 오히려 더 심각해진 사실을 지적하면서 4대강 사업에 따른 유속 저하를 문제삼고 있다. <사진=대구환경연합 제공>
[매일일보 김경탁 기자] 환경 당국이 예년보다 일찍 수질관리를 강화에 나섰다. 봄철부터 시작된 때 이른 고온으로 낙동강에서 녹조가 조기 발생할 우려에 따른 것이라고 당국은 설명했지만 환경단체들은 녹조 문제의 근본에 이명박정부 국책사업이었던 ‘4대강 사업’을 지목하고 있다.1일 낙동강유역환경청은 원래 여름철부터 운영하던 ‘낙동강 수질관리 태스크포스’를 두 달 앞당겨 이날부터 가동한다고 밝혔다.
이는 합천창녕보와 창녕함안보의 지난달 최고 기온이 각각 24.1도, 24.6도까지 오르는 등 때 이른 고온 현상이 나타난 데다 경남·북 지역의 이달 기온이 평년(12∼14도)보다 높고 강수량은 평년(61∼162㎜)보다 적을 것으로 전망돼 녹조가 조기에 발생할 것으로 우려되는 데 따른 조처라고 환경당국은 설명했다.낙동강 수질관리 태스크포스는 자동 측정망으로 수온과 영양염류 등 수질 정보를 모니터링하고 주 2회 하천을 직접 순찰한다. 환경청은 지난해 12월부터 운영하던 ‘갈수기 수질관리 상황실’을 지난달부터 ‘봄철 수질관리 상황실’로 바꿔 오는 5월까지 운영하기로 했다.봄철 수질관리 상황실은 녹조 조기 발생 때 대응 방안을 총괄·지휘하는 컨트롤타워로 근무자를 상시 배치한다. 환경청은 기온·강수량 등 자연적 요건 외에 녹조 증식에 영향을 주는 오염원 배출을 줄이기 위해서도 각종 점검 활동을 벌인다.
환경청은 환경감시단·시·도·검찰 등 관계 기관으로 특별점검반을 꾸려 오는 5월까지 폐수 등 배출업소 집중 단속에 나선다. 또 녹조 조기 발생 우려가 큰 합천창녕보 상류 우곡교(경북 고령), 창원시 본포취수장 농업용 배수로 인근 등에 대해서는 예찰 활동을 특히 강화하기로 했다.이 두 곳에는 수온 현장 측정, 부유 쓰레기 청소, 오염원 투기 감시 등과 더불어 물순환 장치를 설치해 녹조 조기 발생을 억제할 예정이다. 창녕함안보, 경북 강정고령보·칠곡보에서는 지난해에 이어 이날부터 조류경보제를 시범 운영한다.김태현 환경청 수생태관리과 팀장은 “조금의 가능성도 대비하자는 차원에서 예년보다 일찍 관리에 나서기로 했다”며 “녹조 발생 때는 관련 정보를 언론 등을 통해 적극 알리고, 환경청 홈페이지의 ‘조류 정보 알림방’에도 매주 한 차례 낙동강 조류 정보를 공개할 것”이라고 밝혔다.한편 환경운동연합 등 환경단체들에 따르면 지난해 낙동강을 비롯한 4대강 유역에서 녹조가 심각해진 이유에 대해 정부측이 이상고온을 지적한 것과 달리 날씨가 선선해진 가을 이후에도 녹조가 오히려 더 심각해졌다고 지적한 바 있다.녹조가 계속 심각해지는 상황에 대해 환경단체들은 ‘죽음의 악순환’으로 설명한다. 여름동안 창궐한 조류가 계절의 변화로 한꺼번에 사멸되면서 가라앉아 강바닥을 썩게 만들고, 그과정에 일시에 강의 산소를 고갈시키면서 물고기들이 떼죽음을 당하게 된다는 것이다.이와 관련 환경연합 관계자는 “1500만 경상도민의 식수원인 낙동강 수질이 이처럼 해를 거듭해 악화되면 식수대란 사태 역시 시간문제”라며, “강의 수질을 개선하겠다면서 22조나 되는 천문학적인 혈세를 투입하면서 벌인 4대강사업을 왜 했는지 묻지 않을 수 없다”고 꼬집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