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적 혁신역량 증대에도 부가가치생산성 하락세…한계기업의 구조조정 등 대책 시급
[매일일보 변효선 기자] 지난 10년간 중소기업에 ‘혁신의 역설’이 나타나고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혁신의 역설(Innovation Paradox)은 연구개발 등 혁신활동을 해왔음에도 생산성이 오르지 않거나 오히려 떨어지는 현상을 일컫는다.15일 산업연구원이 발표한 ‘최근 10년간 중소기업의 구조변화와 정책과제’에 따르면 중소기업 중에서 기술개발투자 실시 업체 수는 2004년 2만714개사에서 2014년 3만7823개사로 대폭 늘었다.매출액 대비 연구개발(R&D) 투자비율 역시 같은 기간 0.89%에서 1.36%로 증가했으며, 기업부설연구소 수 또한 9387개에서 3만746개로 증가하는 등 지난 10년간 중소기업의 혁신역량은 획기적으로 증대됐다.정부도 중소기업의 생산성 향상을 위해 R&D 및 정책자금 지원을 확대해오고 있다. 그러나 대기업 대비 중소기업 종사자의 1인당 부 가가치 비중은 2004년부터 2014년까지 동안 31% 수준에 머물렀다.특히 중소기업의 부가가치생산성 증가율은 2012년, 2013년에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2014년에도 부가가치생산성이 2011년 수준에 머물렀다. 혁신의 역설이 우려되는 상황에 직면한 것이다.수출기반 취약과 창업기업의 질적 성장 둔화 등도 문제점으로 제기되고 있다. 실제로 2009년 이후 기술집약적이며 질 좋은 일자리를 창출하는 제조업 창업기업의 비중은 줄어들었다. 또 2012년 이후 창업 후 5년 생존율은 지속적으로 하락하는 추세다.산업연구원은 중소기업의 재무구조가 선진국 수준으로 양호한 상황에서 정부가 중소기업 정책자금의 규모를 늘려나가는 것이 바람직한 방안인지에 대해 신중하게 검토해야한다는 의견도 제시했다.
과거 중소기업의 재무구조가 취약했을 당시의 정책자금 지원방식에서 △고성장기업 △가젤기업 △개발기술 사업화기업 등 글로벌 지향성이 높은 기업에 지원을 확대해 중소기업의 경쟁력을 실질적으로 제고하는 방향으로 정책자금을 운용해야 한다는 의미다.
저작권자 © 매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