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동부보훈지청 보훈과 박동국
[매일일보] 현충일과 6‧25전쟁일이 있는 호국보훈의 달 6월은 그 어느 때보다 엄숙함이 강조되는 달이다.
어릴 적 나에게 호국보훈의 달(6월)이란 ‘묵념’이었다. 현충일 10시에울려 퍼지는 사이렌 소리에 맞춰 묵념을 할 때 ‘왜 묵념의 예를 표해야 하는가?’라는 의문이 생긴 적이 있었다. 이때 들었던 답변은 우리를 위해 희생하셨기 때문이라는 것이었다.
당시에는 그 답변만으로도 의문이 풀렸다.
그러나 제64회 현충일을 맞이하는 지금, 그 당시의 답변으로는 부족하다는 생각이 든다.
올해는 6‧25전쟁이 발발한지 69주년이 되는 해로, 그 당시 참전유공자분들은 초고령으로, 그분들의 희생과 헌신이 점차 역사 속으로 사라지고 있다.
이 점에서 기억의계승은 분명히 중요하고, 이 점에 대해서는 누구도 반대하지 않을 것이다.
그런데 하나만 더 생각해 보자. ‘왜’ 우리는 기억해야할까? '기억'은 그 자체로 목적이 될수 없다.
단순히 기억하기보다는 무엇을 위하여 기억해야하는지가 더 중요하다.
국가유공자께서 자신을 희생하고 헌신하도록 한 ‘신념’이 있고, 그런 점에서 우리의기억은 그 ‘신념’에 도달하기 위한 것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묵념’은 분명 희생과 헌신에 대한 기억을 계승하기 위한 행위이다. 아니 더 나아가 묵념은‘기억의 공동체’의 일원으로 참여하기 위한 행위이며, 궁극적으로는 ‘신념의 공동체’에 참여하기 위한 행위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렇다면 우리가 ‘기억의 공동체’, 더 나아가 ‘신념의 공동체’를 이루는 방법에는 무엇이 있을까? 우리는 국가유공자분들의 고귀한 희생과 헌신에 대해 기억하고 선양함으로써 한편으로는 그분들에 대한 감사, 존경과 함께 다른 한편으로는 신념의 공동체를 지향해 나가게 된다.
고귀한 희생에 대한 기억과 선양을 우리는 ‘보훈’이라고 부른다.저작권자 © 매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