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일보 박지민 기자] 코로나19 사태에 따른 실물경제 위기가 글로벌 유동성 확보 전쟁으로 번지고 있다. 특히 미국 내 신용경색 위기가 해소되지 않으면서 전쟁 양상이 갈수록 치열해지는 상황이다.
김용범 기획재정부 제1차관은 23일 긴급 소집된 거시경제금융 회의에서 “코로나19가 미국·유럽 등지로 광범위하게 확산됨에 따라 세계 경기침체 우려가 커지고 금융시장 변동성이 확대됐다”며 “국제금융시장에서는 미국 연준(연방준비제도)의 대규모 채권 매입 등 적극적인 시장안정조치에도 불구하고 채권 스프레드가 확대되는 등 글로벌 유동성 확보 경쟁이 고조되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최근 미국과 600억 달러 통화스와프 체결로 달러 유동성 공급 여건이 크게 개선됐으나 국내 금융시장이 글로벌 금융시장 흐름에 민감하게 반응해 온 만큼 여전히 경각심을 갖고 대응해야 한다”고 했다.
채권 스프레드 확대란 기업들이 자금을 융통하기 쉽지 않다는 것으로 곧 신용경색 위기를 맞고 있다는 의미다. 코로나19의 팬데믹(세계적 대유행)으로 실물경제가 마비돼가자 시장에서는 어느 때보다 신용경색에 대한 위기감이 고조된 상황. 이에 따라 현재 국제금융시장에서는 “기업들과 금융기관, 투자자들이 필요 이상의 달러를 사재기하고 있다”(CNBC)는 말이 나올 정도로 가장 확실한 유동성인 달러 수요만 급증하고 있다. 달러 확보 전쟁은 급기야 지난주 미국 국채 금리가 급등하는 사태를 낳기도 했다. 경제 위기 상황에서 가장 안전한 자산으로 꼽히는 미국 국채 금리는 떨어지는 게 정상적이다. 하지만 달러를 확보하기 위해 너도나도 미국 국채를 팔겠다고 나서면서 경제적 상식을 깨는 일이 벌어진 것이다.
이처럼 미국 국채 시장마저 급변하는 상황이니 외환 시장이라고 온전할 리 없다. 세계 외환시장에서는 달러 강세를 넘어 달러 품귀 현상까지 나타나고 있다. 미국과의 통화스와프에도 불구하고 이날 서울 외환시장도 시작부터 원·달러 환율이 급등하는 등 불안한 모습을 보였다.
국제금융시장 안정을 위해서는 우선 미국 내 유동성 불안 해소가 시급하다는 진단이다. 김 차관은 자신의 페이스북에서 “미국 국채는 바위처럼 단단하는 믿음이 흔들리면 국제금융시장은 혼란에 빠진다”며 “국채시장 불안을 진정시킬 미국 중앙은행(연준)과 재무부의 특단의 대책이 빨리 나오길 고대한다”고 했다. 이와 관련, 미 재무부는 연준이 최대 4조 달러 규모의 유동성을 지원하도록 하는 내용을 포함한 경기부양 법안을 추진 중이다. 하지만 현지시간 22일 미 상원에서 민주당의 반대로 법안이 부결되면서 난항을 겪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