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硏 “자녀 교육비에 부동산 가치 하락 영향 커”
[매일일보 배나은 기자] 금융위기 이후 한국의 60대~70대 이상 고령층의 지갑이 점차 닫히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고가영 LG경제연구원 선임연구원은 3일 ‘노후 대비 부족한 고령층 소비할 여력이 없다’라는 보고서에서 “금융위기 이후 고령층의 소비성향(가처분소득 중 지출의 비중)이 큰 폭으로 하락하며 세대 간 소비성향 역전 현상이 벌어지고 있다”고 밝혔다.
경제학적으로 청장년층은 소비가 적고 고령층은 소비가 많은 집단이다. 젊을 때 돈을 벌어 자산을 모으고, 늙어서는 이를 팔아 노후를 꾸려 나가기 때문이다.그러나 2008년 이후 한국의 60대와 70대는 각각 소비성향이 5.9%포인트(p), 6.8%p 떨어졌다. 같은 기간 40~50대의 소비성향은 약 2%p씩 하락하는 데 그쳤고, 39세 이하는 1.6%p 올랐다.고 연구원은 이 같은 소비 역전현상의 원인으로 2000년대 이후 경제·사회적 환경이 예측하지 못한 방향으로 흘러가면서 고령층이 노후 자금을 소진해 버렸다는 점을 꼽았다.
특히 자녀 교육비는 1990년대 이후 빠르게 늘어나 고령층에게 큰 부담으로 작용했다. 1991년 33.2%였던 대학진학률은 2008년 83.8%까지 높아졌다. 자녀 수는 줄었지만 입시경쟁이 치열해지며 사교육비 부담도 대폭 커짐에 따라 60대는 소득이 가장 높은 40~50대에 노후를 위해 저축할 기회를 놓쳤다는 것이다.고령층이 대응 못 한 또다른 변화는 부동산 불패신화의 종언이다. 그간 끝모르고 치솟던 집값을 보며 고령층은 노후자산 1순위로 부동산을 마련했다. 그러나 금융위기 이후 유례없는 주택시장 침체가 오며 노후자산을 까먹은 것이다.또 기대수명이 늘어나면서 은퇴 이후 소비에 필요한 자산이 더 많이 필요해진 점과 세계적인 저금리 기조로 노후자산의 실질가치(물가상승률을 고려한 가치)가 절하된 점 역시 고령층의 소비성향을 떨어뜨렸다.고 연구위원은 앞으로도 고령층의 낮은 소비성향은 당분간 지속할 것으로 봤다. 학벌을 중시하는 사회 풍조가 상당기간 이어질 걸로 보이는 데다 부동산 역시 장기적으로 대세상승 기조는 되찾지 못할 것이라는 판단에서다.그는 “고령층의 미래 삶을 훼손하지 않고 소비성향 높이려면 고령층이 일할 수 있는 여건이 필요하다”며 “고령층 근로 확대는 노후부담을 줄이고 동시에 공적연금, 노인복지 수요를 감소시켜 재정부담 절감·성장률 개선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 조언했다.
저작권자 © 매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