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은빛 바람을 담은 고려 사경 '묘법연화경 권제6' 일본에서 돌아오다
상태바
금·은빛 바람을 담은 고려 사경 '묘법연화경 권제6' 일본에서 돌아오다
  • 김종혁 기자
  • 승인 2023.06.15 13:4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문화재청, '묘법연화경' 주요 내용 그린 ‘변상도’와 글씨 옮겨 적은 ‘경문’ 등 15일 언론 공개

매일일보 = 김종혁 기자  |  문화재청(청장 최응천)은 6월 15일 오전 10시 30분 국립고궁박물관(서울 종로구)에서 국외소재문화재재단(이사장 김정희, 이하 재단)을 통해 일본에서 환수한 고려 사경(寫經)《묘법연화경 권제6(妙法蓮華經 卷第6)》을 언론에 공개했다

묘법연화경 권제6 앞면 표지 사진=문화재청 제공
묘법연화경 권제6 앞면 표지 사진=문화재청 제공
 묘법연화경 권제6(妙法蓮華經 卷第6)은 14세기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며 감지에 금·은니 필사로
크기는 (접었을 때) 세로 27.6㎝ × 가로 9.5㎝ / (펼쳤을 때) 가로 1,070㎝ / (두께) 1.65㎝이다.(위 사진 참조) 《묘법연화경 권제6》은 감색(紺色) 종이에 경전의 내용을 금·은니(金·銀泥)로 필사해 절첩본(折帖本)으로 만든 고려 사경(寫經)으로, 지난해 6월 소장자가 재단에 매도 의사를 밝히면서 처음 존재가 확인되었다. 이후 문화재청의 행정지원과 수차례에 걸친 재단의 면밀한 조사와 협상을 거쳐 올해 3월 국내로 들여오는 데 성공했다. 금·은니(金·銀泥)는 금 또는 은가루를 아교풀에 개어 만든 안료를 말한다. 절첩본(折帖本)은 병풍처럼 접는 식으로 만들어진 책의 형태를 이르는 말이다.(아래 사진 참조)
묘법연화경 권제6 사진=문화재청 제공
묘법연화경 권제6 사진=문화재청 제공
 사경(寫經)은 불교 경전을 옮겨 적은 경전을 의미한다. 본래 불교 교리를 전파하기 위해 제작되었으나 점차 발원(發願)을 통해 공덕(功德)을 쌓는 방편으로 여겨져 널리 제작됐다. 우리나라에서는 특히 고려시대에 사경 제작이 성행했으며, 국가 기관인 사경원(寫經院)을 통해 국가의 안녕을 빌거나 개인적 차원에서 돌아가신 부모의 극락왕생 등을 바라는 목적으로 제작됐다.

《묘법연화경》은 부처가 되는 길이 누구에게나 열려있음을 기본사상으로 한 경전이다. 총 7권 중 제6권에 해당하는 《묘법연화경 권제6》은 묘법연화경 전파의 중요성과 공양 실천에 대한 강조를 주 내용으로 한다. 특히, 내용 중 23품에 해당하는 ‘약왕보살본사품(藥王菩薩本身品)’에는 묘법연화경이 ‘여러 경전 가운데 제일’이며, ‘이 경전을 듣고 스스로 쓰거나 다른 사람을 시켜 쓰면, 그 얻는 공덕은 부처님의 지혜로 그 많고 적음을 헤아려도 그 끝을 알 수 없다’ 고 적혀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중국 후진(後秦, 384-417) 시대의 승려 구마라집(鳩摩羅什, 344-413)이 번역한 7권 28품의 《묘법연화경》이 가장 널리 유통됏다. 금번 환수된 유물은 구마라집 한역본(漢譯本) 7권 중 제6권을 옮겨 적은 것으로, 18품에서 23품까지의 내용이 담겼다. 약왕보살본사품(藥王菩薩能耐品)에는 자신의 몸을 태워 공양했다는 ‘약왕보살’의 전생을 설법하며 수행자들의 정진을 권하는 내용이 담겨있다.

묘법연화경 권제6 변상도 사진=문화재청 제공
묘법연화경 권제6 변상도 사진=문화재청 제공

 경전의 내용을 압축하여 묘사한 변상도(變相圖)는 4개의 화면(畫面)으로 구성되어 있다. 화면 우측에는 묘법연화경을 설법하는 석가모니불과 그 권속이 그려져 있으며, 좌측에는 사람들이 성내며 돌을 던져도 ‘그대들은 모두 성불하리라’고 말하는 상불경보살품(常不輕菩薩品/제20품)의 장면, 타오르는 화염 속에 자신의 몸을 바쳐 공양하는 약왕보살본사품(藥王菩薩真本事品/제23품)의 장면 등 《묘법연화경 권제6》의 내용 가운데 가장 극적인 장면들이 담겨있다. 특히 화면 우측의 설법 장면이 차지하는 비중이 크고, 화면을 선으로 빼곡하게 채운 점 등에서 14세기 후반 고려 사경의 특징이 드러난다.
묘법연화경 권제6 변상도 세부(제20품 상불경보살품의 장면) 사진=문화재청 제공
묘법연화경 권제6 변상도 세부(제20품 상불경보살품의 장면) 사진=문화재청 제공
 상불경보살품(常不輕菩薩品)은 《묘법연화경》의 제20품으로, 갖은 어려움 속에서도 만나는 사람마다 가벼이 여기지 않고 성불할 것이라고 전한 ‘상불경보살’의 행적을 통해 수행의 모범을 제시하는 내용이다.  한편, 총 108면에 걸쳐 이어지는 경문(經文)은 한 면당 6행씩, 각 행에는 17자의 글자가 적혀 있으며, 금니로 경계를 그리고 은니로 글자를 정성스럽게 적은 형태이다.

 이번에 공개하는《묘법연화경 권제6》은 불교문화유산으로서의 종교적 가치와 뛰어난 미적 가치를 함께 자랑하며, 700년에 가까운 시간이 흘렀음에도 보존 상태가 양호해 향후 다양한 연구와 전시 등에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문화재청과 재단은 이번 환수 문화유산의 공개가 고려 사경의 아름다움과 그 속에 담긴 고려인의 바람을 생각해 볼 수 있는 기회가 되길 바라며, 앞으로도 적극 행정과 현지 협력망 확대를 통해 국외 중요 한국 문화유산의 발굴과 환수에 최선을 다할 계획이다. 이번 문화유산 환수는 복권기금으로 추진됐다.


좌우명 : 아무리 얇게 저며도 양면은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