外人 자금 유출·환율 상승 우려
매일일보 = 홍석경 기자 | 우리나라와 미국의 금리 격차가 사상 최대 수준인 2%포인트(p)로 벌어질 가능성이 제기된다.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가 오는 13일 통화정책방향 결정회의에서 금리를 동결(3.50%)하고,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가 오는 25일(현지시간)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에서 기준금리를 0.25%p 인상(5.25~5.50%)할 경우 금리차는 상단기준 2%p가 된다. 전문가들은 우리나라 물가상승률이 둔화하고 있지만, 수출경기가 부진하다는 점을 고려했을 때, 한은이 기준금리를 동결할 것으로 보고 있다.
4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금통위는 오는 13일 통화정책방향 결정회의에서 기준금리 인상 여부를 결정한다. 전문가들은 금통위가 네 번 연속으로 금리를 동결할 것으로 점치고 있다. 소비자물가상승률이 둔화하고, 수출 경기가 부진한 상황에서 경기부양과 금융안정을 조금 더 고려할 수밖에 없단 점에서다. 6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21개월 만에 2%대를 기록, 인플레이션 압력이 크게 줄어든 상황이다. 인플레를 부추기던 석유류 가격이 역대 최대폭으로 하락한 데다 그간 경직적 흐름을 보이던 근원물가 상승률 역시 둔화하면서 서서히 물가가 안정화하고 있다. 다만 한은이 기준금리를 동결하고 연준이 올해 하반기 중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인상한다면, 한·미 금리차가 역대 최대인 2%포인트에 달한다. 우리나라보다 미국 금리가 높으면 외국인의 투자자금 등이 금리가 더 높은 쪽으로 유출되고, 원·달러 환율 상승압력이 높아진다. 7월 동결하더라도 향후 인상할 불씨는 남아있다. 근원물가상승률이 여전히 높은 데다 한미 금리차 확대로 환율 변동성이 확대될 수 있어서다. 에너지와 식료품을 제외한 근원물가상승률은 올해 상반기 4.0%로 지난해 하반기(4.1%)대비 소폭 하락하는 데 그쳤다. 서비스물가 상승, 공공요금 인상 파급효과 등으로 근원물가상승률이 더 오를 여지도 있다. 한은도 5월 경제전망에서 연간 소비자물가상승률은 당초 전망(3.5%)을 유지하되 근원물가상승률은 3.0%에서 3.3%로 높여 잡았다. 지난 5월 한은 금통위원 6명 전원이 최종금리 수준을 3.75%로 열어둔 만큼 미국이 두 차례 추가로 인상할 경우 한은도 환율 상황 등을 고려해 한 차례 추가 인상할 수 있다는 분석이다. 조영무 LG경영연구원 연구위원은 “한미 간 금리 역전 상태가 길어질수록 환율과 주가 등에 미칠 영향에 더 주의해야 한다”며 “미국과의 금리 격차가 벌어지는데 경기는 하강하기 때문에, 올해 한은의 통화정책 환경은 그 어느 때보다 험난할 것”이라고 전망했다.저작권자 © 매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담당업무 : 보험·카드·저축은행·캐피탈 등 2금융권과 P2P 시장을 담당합니다.
좌우명 : 읽을 만한 기사를 쓸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좌우명 : 읽을 만한 기사를 쓸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