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F대출 5분의 1이 부실화… 당국 ‘경착륙’ 우려 해소 총력전
상태바
PF대출 5분의 1이 부실화… 당국 ‘경착륙’ 우려 해소 총력전
  • 이광표 기자
  • 승인 2023.07.20 10:1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부동산PF 고정이하여신비율 올 1분기 20% 육박 '비상'
하반기 금융시장 변수로...펀드 조성 등 부실 최소화
부동산PF 대출의 부실 비중이 확대되면서 하반기 금융시장의 뇌관이 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부동산PF 대출의 부실 비중이 확대되면서 하반기 금융시장의 뇌관이 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매일일보 = 이광표 기자  |  금융시장을 뒤흐든 새마을금고 사태가 진화되는 듯 하더니 이제는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PF) 리스크가 다시 고개를 들며 금융당국이 긴장의 고삐를 조이고 나섰다. 당국은 연체율 상승세가 둔화할 것으로 기대하면서도 부동산PF 부실 최소화를 하반기 금융시장 안정 1순위로 설정, 총력 대응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20일 금융권에 따르면 최근 새마을금고 사태 이후 한풀 꺾였던 부동산 PF에 대한 우려가 다시 부상하고 있다.
새마을금고는 단기간에 급격히 늘려온 부동산 관련 대출 연체율이 높아지면서 고객 예금 인출 사태로까지 이어졌다. 새마을금고의 관리형 토지신탁 사업비 대출 잔액은 2019년 말 1694억원에서 작년 말 15조5079억원으로 폭증했다. 관련 연체액도 2021년 말 60억원에서 지난해 말 602억원으로 10배가량 늘었다. 새마을금고 사태는 일단락됐지만 금융권의 '약한 고리'인 부동산 PF 문제가 다시 불거졌다. 특히 증권사, 캐피탈사 등은 PF 대출에 중순위·후순위로 참여한 경우가 많아 부실이 생겼을 때 크게 타격을 받을 수 있다. 이미 비은행권의 PF 대출 연체율은 크게 상승 중이다. 국회 정무위원회 윤창현 국민의힘 의원이 금융감독원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증권사들의 PF 연체율은 작년 말 10.4%에서 올해 1분기 기준 15.9%까지 급등했다. 증권업권의 부동산 PF 연체 잔액은 1분기 기준 8404억원으로 작년 말(4657억원)의 2배 수준으로 증가했다. 부실 자산을 뜻하는 고정이하여신 비율도 급증했다. 부동산 PF 고정이하여신 잔액은 작년 말 6638억원에서 올해 1분기 1조468억원으로, 고정이하여신 비율은 작년 말 14.8%에서 1분기 19.8%로 늘었다. 한국신용평가에 따르면 신용등급 A등급 이하의 캐피탈사의 경우 1개월 연체율이 작년 말 1% 수준에서 올해 3월 3%로 상승했다. 1년 미만의 단기 차입 비중 역시 2021년 6월 43%에서 55%로 늘어나는 등 재무 악화가 두드러졌다.
이처럼 부동산 PF 부실 문제가 심각해지자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 등 금융당국은 총력 대응에 나선 상황이다. 이복현 금감원장은 최근 부동산 PF 부실 위기의 재발 우려에 대해 "자연스러운 구조조정은 불가피할 수밖에 없고 그 과정에서 일부 시공사나 건설사가 어려움에 직면하겠지만 시스템 리스크로 작용할 것이라고 보지 않는다"며 "그렇게 되지 않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특히 금융당국은 하반기 금융시장 안정 우선순위로 부동산 PF 부실 최소화를 설정하고 대응 중이다. 우선 지난 4월 말 재가동한 PF 대주단 협약을 통해 부실 사업장에 대한 '옥석 가리기'를 진행 중이다. 한국자산관리공사(캠코)의 PF 펀드, PF 대주단 협약을 통한 권리관계 조정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기로 했다. 캠코는 9월부터 부동산PF 사업장 정상화 지원 펀드를 본격적으로 가동한다. 캠코의 위탁을 받은 5개 운용사가 2천억원 이상의 펀드를 조성하고, PF 채권을 인수한 뒤 권리관계 조정, 사업·재무구조 재편 등을 통해 정상화를 지원할 예정이다. 금융당국은 현재 펀드가 1조원 규모로 조성됐지만, 필요에 따라 투자 수요, 재정여력 등을 고려해 규모 확대를 추진하기로 했다. 지난 4월 말 재가동한 PF 대주단도 부실 사업장에 만기 연장, 신규 자금 지원 등 정상화 작업을 추진 중이다. 협약이 적용된 부실·부실 우려 사업장은 모두 91곳으로 이 가운데 66곳에 대해 만기 연장, 신규 자금 지원 등 정상화 작업이 추진되고 있다. 다만 부동산 PF 부실 우려와 관련해 전(全)권역 총량규제까지는 고려하지 않는다는 방침이다. 김주현 금융위원장은 최근 기자간담회에서 "부동산 PF에 자금을 공급하는 사람들이 건전성을 유지하면서 손실흡수능력을 갖추고 대출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는 게 순리"라며 "총량 규제에 대해 생각해보지 않았다"고 말했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2분기부터는 부동산 PF 연체율 상승률이 다소 진정될 것으로 예상된다"며 "하반기 금융시장 리스크 변수로 부동산 PF를 1순위에 놓고 대응 중"이라고 말했다.

윤창현 의원은 "새마을금고의 인출사태에서 보듯 시장은 정부의 대책을 기다려주지 않는다"면서 "일부 증권사의 부실 규모는 임계치를 넘고 있는 것으로 보여 선제적 채무조정에 돌입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