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위기 발생한다면 가계부채 때문”
상태바
“금융위기 발생한다면 가계부채 때문”
  • 배나은 기자
  • 승인 2014.09.16 12:2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한은, 국내외 금융 전문가 90명 설문
[매일일보 배나은 기자] 한국에 금융위기를 불러올 수 있는 위험 요인으로 미국의 양적완화 종료(조기 금리 정상화 포함)와 가계부채 문제, 중국의 경기 둔화가 꼽혔다.한국은행은 최근 77개 국내외 금융기관 전문가 90명을 상대로 ‘시스템적 리스크 서베이’를 한 결과, 이들 3개 요인이 핵심 리스크(응답자의 50%이상이 인식하는 리스크)로 꼽혔다고 16일 밝혔다.
시스템적 리스크란 금융시스템이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아 1997년 외환위기 때처럼 환율, 주가 등이 요동치면서 실물경제에 심각한 영향을 주는 것을 말한다.조사 결과 미국의 양적완화 종료(70%)는 1년 이내의 단기 리스크로, 영향력은 크지만 실제 시스템적 리스크를 야기할 가능성은 중간 수준이라는 평가가 나왔다.가계 부채(67%)는 1∼3년 사이에 발생할 수 있는 중기 리스크로, 발생 확률도 높고 영향력도 큰 것으로 지목됐다.
중국의 경기 둔화(64%)는 중·단기 리스크로, 역시 발생 확률이 높고 영향력도 큰 것으로 평가됐다.올해 2월 서베이 결과와 비교하면 신흥국 금융불안은 응답률이 50% 미만이어서 핵심 리스크에서 아예 빠졌고 미국의 양적완화 등 3개 요인에 대한 응답률도 모두 낮아졌다.이종한 한은 조기경보팀 과장은 “상대적으로는 가계부채를 꼽은 응답률이 중국 경기둔화보다 더 높게 나온 것도 차이점”이라고 설명했다.1년 이내에 한국에서 금융시스템 리스크가 발생할 가능성에 대해서는 ‘낮다’는 응답이 60%로, 올해 2월 조사 때(32%)보다 늘어났고 ‘높다’는 33%에서 9%로 줄었다.향후 1∼3년 사이에 발생할 가능성은 ‘낮다’는 응답이 30%에서 26%로 줄고 ‘높다’는 23%에서 28%로 늘었다.금융시스템의 안정성에 대한 향후 3년간 신뢰도는 ‘높다’는 응답이 39%로, 지난 2월 조사 때(42%)보다 다소 줄고 ‘낮다’는 8%에서 11%로 늘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