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일보 권희진 기자] 롯데·신세계·현대 등 빅3 유통업체들이 올해 공격적으로 확장하려던 아웃렛 사업 계획에 먹구름이 꼈다.중소상인 보호를 명분으로 시작된 유통산업발전법(유통법) 관련 규제가 대형마트와 기업형슈퍼마켓(SSM)에 이어 아웃렛까지 확산될 조짐을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13일 업계에 따르면,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이종걸 새정치민주연합 의원은 지난해 12월14일 유통산업발전법 개정안을 대표 발의했다.이 개정안의 골자는 현재 전통시장 또는 전통상점가의 경계로부터 1㎞ 이내로 돼 있는 전통상업보존구역의 범위를 2㎞ 이내로 확대하는 것이다.이럴 경우 주로 교외에 있어 전통시장과 멀리 떨어져 있는 아웃렛 중 상당수가 전통상업보존구역에 포함될 가능성이 농후해진다.당시 이 의원은 “최근 백화점의 성장세가 꺾이고 해외 명품의 소비가 줄어들면서 유통 대기업들이 대형 아웃렛이나 상설할인매장을 경쟁적으로 개설하기 시작해 전통시장과 중소상인들의 피해가 예상된다”며 법안 취지 배경을 밝혔다.전통적인 유통채널인 백화점과 대형마트 등의 성장세가 꺾이면서 유통업계가 신성장동력으로 삼고 있는 아웃렛 사업이 지역상권 붕괴는 물론 유통산업 독과점을 심화시킨다는 우려의 반발이 높아진 데 따른 것.
일례로 지난해 11월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이 공개한 ‘대형쇼핑몰 출점이 지역상권 매출에 미치는 영향’ 보고서에 따르면 대형 쇼핑몰이 진출한 지역 소상공인 314개 업체의 매출은 진출 전에 비해 월평균 46.5%나 감소했다.지역별로는 영등포 타임스퀘어 인근 도심지역 소상공인들의 피해폭(-36.5%)에 비해 롯데, 신세계 아울렛이 진출한 경기도 파주, 고양 지역 인근 소상공인들의 매출 감소폭이 49.2% 높았다. 조사 대상 업체들의 영업 이익률도 대형 쇼핑몰 진출 이전에 비해 월평균 49%나 꺾인 것으로 나타났다.그러나 업계의 입장은 사뭇 대조된다. 아웃렛이 합리적인 쇼핑을 원하는 고객의 니즈에 부합해 오히려 위축된 소비를 살리는 한편, 고용창출 등 지역 살리기에 힘을 보태는 긍정적 효과도 있다는 입장이다.실제로 백화점 매출 규모는 2012년 29조1000억원, 2013년 29조9000억원, 2014년 31조2000억원 등으로 연 성장률이 2∼4%에 그친 반면 아웃렛 시장은 2012년 8조7000억원에서 지난해 9조9000억원으로 두 자릿수 성장했다.게다가 지난 2013년 9월 충남 부여군 백제문화단지에 들어선 롯데아울렛 부여점은 지난해 400만명이 방문한 쇼핑 명소로 자리 잡은 데 이어 최근 프리미엄 아웃렛 광명점 오픈으로 광명시민 200여명을 협력사원으로 채용하는 등 일자리 창출 효과도 짚었다.따라서 주요 백화점들은 계획대로 올해 아웃렛 투자를 대폭 강화할 예정이다. 롯데백화점은 연내 인천 항동과 경남 진주시, 경기 수원 광교신도시 등 세 곳에 아웃렛을 오픈하며, 현대백화점은 경기 김포시와 서울 장지동에 아웃렛을 열 예정이다. 신세계백화점 계열사인 신세계사이먼은 경기 시흥시와 의정부시, 전남 나주시 등에 아웃렛 출점을 앞둔 상황.백화점업계 관계자는 “경기상황 등의 이유로 (백화점)신규출점이 없는 만큼 아웃렛이나 복합쇼핑몰 형태로 사업다각화를 하고 있는 추세”라며 “일단은 결과를 지켜봐야 하는 분위기이고, 결과가 나오기 전까지는 최대한 (출점)할 수 있는 부분에 대해선 추진할 계획”이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