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크아웃 앞두고 서진원·이순우·임종룡·홍기택 등 집중 접촉
[매일일보 배나은 기자] 고 성완종 전 경남기업 회장의 불법 로비 의혹이 금융권으로 번지면서 채권은행들의 손실에 대한 금융당국과 개별 은행들의 책임론이 재차 불거지고 있다.20일 금융권에 따르면 경남기업이 자본 전액잠식 등의 사유로 주식시장에서 퇴출된데 이어 법정관리에 들어서면서 채권은행들의 발등에는 불이 떨어졌다. 채권단이 경남기업에 빌려준 전체 여신은 1조3000억 원에 이르지만 법정관리 기업 채권 원금회수율은 일반적으로 10%에서 20%를 넘지 않는 수준이기 때문이다.은행별로는 수출입은행이 5207억원으로 가장 많았고, 신한은행 1761억원, 산업은행 600억원, 농협은행 522억원, 수협중앙회 455억원, 국민은행 421억원, 우리은행 356억원 등이 그 뒤를 이었다.이들 채권단은 이미 800억원대 손실을 본 것으로도 알려졌다. 지난해 3월 경남기업 대출금 1000억원을 업체 지분으로 바꿔줄 당시 액면가인 주당 5000원으로 가치를 매겼으나 상장폐지 후 정리매매 기간 채권단 평균 매각가는 주당 666원으로 매입가의 8분의 1에 그쳤기 때문이다. 이 과정에서도 수출입은행은 201억여원으로 가장 큰 손실을 봤으며, 신한은행과 산업은행이 각각 129억.원, 127억여원 가량의 손해를 입었다.문제는 이 와중 성 전 회장이 2013년 3차 워크아웃에 들어가기 전 금융당국 및 금융권 인사들을 집중적으로 만난 기록이 최근 드러났다는 점이다.이 ‘성완종 다이어리’에 따르면 성 전 회장은 경남기업이 2013년 10월 3차 워크아웃에 들어가기 전인 2013년 9월 3일 김진수 전 금융감독원 기업금융개선국장을 만났다. 김 전 국장은 감사원에서도 경남기업에 대한 대출 외압의 주인공으로 지목된 인물이다.저작권자 © 매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