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준, 이번 회의서 인상계획 실마리 내놓을듯
[매일일보 정두리 기자] 미국이 9년여 만에 기준금리를 인상할지를 결정해야 할 시간이 다가오면서 전 세계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연준·Fed)는 오는 16일(현지시간)부터 이틀간 통화정책 결정기구인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를 열고 금리 인상 여부를 결정한다.13일 미국 연준은 기준금리, 즉 연방기금금리 목표치를 섣불리 올리기도 어렵지만, 그대로 내버려둘 수도 없는 ‘진퇴양난’ 상태다.연준이 기준금리를 올려야 하는 가장 큰 이유는 현재의 0∼0.25%인 ‘초저금리’ 상태에서는 앞으로 어떻게 나타날지 모르는 경제 불확실성에 제대로 대응할 수 없기 때문이다.금융위기에 대응하고자 지난 2008년 12월 현재 수준까지 기준금리를 낮췄지만, 연준은 결국 채권 매입을 통해 시중에 유동성을 공급하는 ‘양적완화’ 등 전례 없는 정책들을 쓴 뒤에야 추락하던 미국 경제에 간신히 낙하산을 펼 수 있었다.양적완화는 미국 경제를 안정시키는 데 이바지했지만, 연준으로서는 발목에 납덩이를 하나 더 달게 된 셈이었다. 공개시장조작이라는 가장 기본적인 통화정책 수단이 양적완화 때문에 사실상 무력화됐기 때문이다.현재 연준은 경기침체 탈피를 선언한 이후 가장 오랫동안 금리 인상을 하지 않은 상태다. 금융위기 이전 두 번의 경기 상승기에 연준은 경기침체에서 벗어났다는 선언을 하고 나서 3년 이내에 기준금리를 올렸다.미국이 금융위기를 벗어났다고 선언한 때는 2009년 6월이었다.재닛 옐런 연준 의장이 지난 5월부터 올해 안에 기준금리를 올리겠다고 공언한 점도 연준의 운신 범위를 좁히는 결과로 이어졌다. 올해 금리를 올리지 못하면 연준은 ‘양치기 소년’이 되기 때문이다.그럼에도 연준이 쉽사리 기준금리를 올리지 못하는 가장 큰 이유는 금리 인상의 근거가 될 미국 경제지표들이 엇갈린 방향을 가리키고 있다는 점이다.법률로 규정된 연준의 정책 목표는 ‘최대 고용과 물가 안정, 적절한 장기금리’다. 연준은 이를 바탕으로 ‘노동시장이 더 개선되고, 물가가 중기적으로 목표치인 2%까지 회복된다는 합리적 확신’이라는 ‘두 가지 임무’(dual mandate)를 설정하고 있다.이들 중 고용 측면에서의 임무는 이미 달성됐다. 지난 8월 실업률은 5.1%로 연준에서 완전고용 수준으로 간주하는 5.0∼5.2% 범위에 안착했기 때문이다.웰스파고 투자은행은 지난 8일 보고서에서 “지난달까지 두 달동안 비농업 신규고용 증가량 평균치가 20만9천 건이었고, 지난 7월 근원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전년 동월대비 1.8% 상승하는 과정에서 서비스부문의 근원CPI 상승폭은 2.6%였다”며 이런 지표들이 기준금리 인상의 근거가 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현재 미국에서는 연준이 기준금리를 올해 안에 올릴 경우 그 시점으로 9월과 10월, 12월을 거론하고 있다.
저작권자 © 매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