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지만 취약한 경제규모만 가지고 지역경제를 살릴 수 있겠느냐는 회의론적인 시각도 만만치 않다. 확장위주 도시개발이 득이 될지 손해가 될지를 짚어 보아야 한다. 경제성장에 따른 도시화로 인해 오는 2030년 무렵 세계인구의 60%가 도시에 거주하게 될 전망이라고 한다.
삼성경제연구소의 한 연구 자료에 따른 결과다. 삼성경제연구소 SERI 경영노트 제154호 연구 자료에 따르면 지난 2011년 52%였던 도시화 율이 2030년에는 60%까지 증가하고 전 세계 도시 인구는 2011년 36억 명에서 2030년 50억 명으로 증가할 것이라고 보고 있다.
도시화가 진전될수록 도시 성장은 둔화되고 관리의 필요성도 커진다는 진단을 내놨다. 그리고 도시개발의 한 방법으로 컴팩트시티(Compact City)의 개념이 회자되기도 한다. BDI 부산발전연구원의 BDI 포커스 제246호는 도시화에 따른 인구집중과 인구감소, 고령화에 따른 도시 공간 구조, 도시개발 방식의 변화가 요구되기 때문이다.
컴팩트 시티는 압축 도시라는 의미로 도시의 고밀 개발을 통해 현대도시의 여러 문제를 해결하고 경제적 효율성과 자연환경 보전까지 추구하는 도시개발 형태로 대도시뿐만 아니라 연천군에서 환영 받을 수 있다고 할 것이다.
그렇다면 “소도시 규모에 해당하는 연천군의 도시 정책은 바람직한가? 또는 도시 확장 정책을 편다면 문제는 없는가?”를 감안하지 않을 수 없다.
연천군은 인구 약 4만6천을 중심으로 소폭 증가와 감소를 되풀이하고 있지만 정체수준을 면치 못하고 있다. 하지만 아파트의 공급 사업과 산업단지 조성, 전철연장사업 등 도시 확장 정책이 계속적으로 진행 중이고 계획하고 있다. 여느 다른 도시와 마찬가지로 새로운 지속적인 개발을 하고 있는 셈이다.
이 밖에 도시의 이미지와 기반시설의 변화를 가져오는 대규모 시설의 경우 주민들의 의견일치가 전제되어야 하고, 확장위주 개발에는 주민과 전문가가 합심해 도시성장 관리에 대한 분명한 계획과 도시개발 용량의 설정이 필요하다는 진단을 내놓을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지역적 특성이나 기능부여를 통해 개발계획이나 재생계획을 수립하는 것이 연천군 실정에 적합하다는 의견이 있고 연천군은“도시 확장”과“도시재생”이라는 큰 틀 사이에서 충분한 검토 후 결정을 해야 하는 시점이라 할 것이다.
이병학(연천군청 종합민원과 개발허가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