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 GDP대비 복지지출 비중, 2040년 이후 모든 복지선진국 추월”
상태바
“韓 GDP대비 복지지출 비중, 2040년 이후 모든 복지선진국 추월”
  • 이한듬 기자
  • 승인 2017.09.06 11: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한경연 분석…“복지확대 통제 못하면 2060년 조세부담률 35%까지 증가”
[매일일보 이한듬 기자] 복지지출이 지금과 같은 수준으로 증가할 경우, 2040년 이후 우리나라의 GDP대비 복지지출 비중이 모든 복지 선진국보다 높아질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한국경제연구원은 6일 ‘한국의 복지지출과 재원조달의 우선순위에 관한 고찰’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복지지출이 지금과 같은 수준으로 계속 증가할 경우, 우리나라의 GDP 대비 복지지출 비중이 2040년 이후부터 모든 복지 선진국보다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복지재정 지출 수준을 추정한 연구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GDP대비 복지지출 비중은 2020년 13.1%, 2030년 20.4%, 2050년 31.4%를 넘어 2060년에 33.7%에 달했다.이 같은 분석을 토대로 2015년부터 2060년까지 복지 선진국과 우리나라의 GDP대비 복지지출 비중을 비교한 결과, 우리나라가 2040년 이후에 모든 복지 선진국을 추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2020년 후반에 영미형 국가를 초과해, 2030년 초반에는 OECD 평균, 2030년 중반에 일본, 2040년에는 북구형 국가를 넘어섰다.한경연은 “복지지출을 적정수준에서 통제하지 못할 경우 2060년에는 조세부담률을 35%이상으로 인상해야 국가채무 적정수준을 유지하면서 늘어난 복지재정을 감당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조경엽 한경연 경제연구실장은 “재정의 지속가능성과 복지국가들과의 격차를 고려할 때 복지재정 규모에 대한 목표를 단계별로 수립할 필요가 있다”며 “지금부터 향후 10년간 2015년 현재 영미형 복지국가의 지출수준(18.9%)을 목표로 하고, 이후 2035년까지 일본의 지출수준(23.1%), 2060년에는 북유럽 국가 수준인 27.5%를 목표로 복지재정을 하향조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 같은 목표대로라면 우리나라가 국가채무의 적정수준을 유지하면서 저복지에서 중복지를 거쳐 고복지 단계로 자연스럽게 전환될 수 있을 것이란 설명이다.조 실장은 “우리나라의 조세부담률은 2015년 현재 18.5% 수준인데, 복지재정을 이처럼 통제한다면 2060년에 25% 내외로 유지할 수 있다”고 말했다.한경연은 복지재원 조달 방안을 수립할 때 △재정지출축소, △세원확대, △세입구조조정 순으로 우선순위를 삼아야 한다고 주장했다.조 실장은  “선진국가들이 현재 우리나라와 소득수준 등이 유사한 시점에 국민부담률보다 재정지출을 빠르게 늘려 재정위기에 직면하게 됐다”며 “이들 국가를 반면교사 삼아 가장 우선적으로 세입확대보다 재정지출을 축소하는데 역점을 둬야 한다”고 밝혔다.이어 조 실장은  “ ‘세율 인상 전, 세원 확충’의 원칙에 따라 면세자 비율 축소, 지하경제 양성화 및 텍스갭 축소를 통해 조세포착률을 높이는데 다음으로 우선순위를 둬야 한다”고 주장했다.우리나라의 택스갭은 2011년을 기준으로 27조원에 달하는 등 세수의 누수방지를 막는 것이 시급하다는 주장이다.세입구조조정 방안에 대해서는 소득세의 소득재분배 기능을 강화하기 위해 최고세율 인상보다는 비과세감면을 축소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소득세 면세자 비율이 많다보니 세수규모가 작아 최고세율을 인상해도 소득재분배가 개선되지 않는다는 지적이다.영국과 비교할 경우 2014년을 기준으로 영국은 상위 10%가 하위 10%보다 소득은 36배 많고 세금은 44배 많이 내는데 반해, 우리나라는 소득은 11배 많고 세금은 750배 많이 낸다.이에 대해 한경연은 “우리나라의 소득세 누진도가 영국보다 높지만 소득분배개선율은 우리가 4.5%로 영국 7.2%보다 낮다”며 “이는 우리나라의 과세자비율이 52%로 영국 90%보다 크게 낮아 세수규모가 작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