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실대출 규모 3조9378억원...1년 새 10% 증가
고금리에 상환 여력 악화...채무불이행 속출 우려
고금리에 상환 여력 악화...채무불이행 속출 우려
매일일보 = 이광표 기자 | 국내 4대 시중은행의 기업대출에서 불거진 부실 규모가 4조원에 육박했다. 금리가 가파르게 치솟으면서 기업들의 채무 상환 능력이 악화된 영향이다.
오는 9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에 따른 금융지원 조치가 종료되면 채무불이행 기업들이 늘어나면서 은행들의 재무적 손실도 가중될 것이란 우려가 나온다. 8일 금융권에 따르면 올해 1분기 말 기준 KB국민·신한·하나·우리은행 등 국내 4대 시중은행이 보유한 기업대출에서 신용 손상으로 분류한 채권은 총 3조9378억원으로 1년 전보다 9.8% 증가했다. 은행들은 정기적으로 기업들의 채무불이행 발생 위험을 평가하는데, 신용등급·연체일·자산건전성 등의 지표를 종합적으로 고려한다. 통상 은행들은 기업대출에서 90일 이상 연체되거나, 담보권 행사 없이는 원금 회수가 불가하다고 판단되면 채무불이행 상태로 진단한다. 은행별로 살펴보면 신한은행의 신용 손상 기업대출이 6428억원으로 같은 기간 대비 12.6% 늘어나며 가장 큰 증가 폭을 보였다. 이어 ▲국민은행(2조1552억원·증가율 11.7%) ▲하나은행(5897억원·5.9%) ▲우리은행(5500억원·3.8%) 등의 순으로 늘었다. 이 같은 부실 위험은 연체율 지표로도 확인된다. 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은행 등 5대 시중은행의 지난 4월 기업대출 연체율은 0.328%로 전월 대비 0.034%포인트(p) 올랐다. 같은 기간 이들 은행의 신규 연체율도 0.082%에서 0.094%로 0.012%p 상승했다. 1년 전과 비교하면 0.046%p 오른 수준이다. 신규 연체율은 해당월 신규 연체액을 전월 말 대출잔액으로 나눈 것으로 새로운 부실 증감 추이를 보여준다. 은행들은 연체 채권을 관리하기 위해 주기적으로 상·매각 처리를 한다. 그럼에도 기업대출의 연체율이 지난해 하반기 이후 상승 추세를 그리고 있다는 설명이다. 앞으로도 은행들이 기업대출에서 원금과 이자를 회수하지 못할 위험은 확대될 전망이다. 정부의 코로나19 금융지원 조치로 잠재 부실이 아직 수면 위로 드러나지 않았기 때문이다. 앞서 정부는 지난 2020년 4월 코로나19의 직격탄을 맞은 중소기업과 자영업자 등을 지원하기 위해 대출 만기 연장과 이자 상환 유예 조치를 시행했다. 오는 9월로 이자 상환 유예 조치가 종료되면 기업대출의 신용위험이 지금보다 증가할 것이란 우려가 나온다.금융권 관계자는 "높은 수준의 금리가 신용위험을 확대하는 가장 큰 요인으로 볼 수 있다"며 "경기도 둔화하면서 중소기업들의 매출이 줄어들어 대출금을 상환하지 못할 리스크도 커지고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매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