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화·소득양극화 따른 소비 위축, 외환위기 때보다 심각
정부 내수활성화 정책 근본부터 잘못…패러다임 전환 필요
[매일일보 김경탁·박동준 기자] 국가경제가 나날이 성장하고 있다는 소식은 꾸준히 들려오지만 정작 일반 국민들 사이에서는 IMF 때보다 더 살기 힘들다는 소리가 터져 나오고 있다. 세대간·계층간 소득 양극화가 끝없이 벌어지면서 서민의 지갑이 얼어붙고 있기 때문이다.극도로 얼어붙은 민간 소비를 진작시키기 위해 정부는 대대적인 재정·통화정책을 쏟아내고 있다. 박근혜 정부 출범 이후에만 추가경정예산 책정 1회, 부동산 대책 4회, 투자활성화대책 6회에 기준금리도 2차례나 인하했다. 하지만 상황은 전혀 나아지지 않고 있다.지난 8월 담보인정비율(LTV)·총부채상환비율(DTI) 규제를 완화한 것을 예로 들면, 당초 부동산 활성화를 위해 내놓은 이 대책이 도리어 가계부채 증가를 부채질하면서 이자 갚기에 급급해진 가계의 소득을 오히려 위축시키는 역효과가 우려되는 상황이다.더 큰 문제는 상환 능력이 부족한 계층을 상대로 대출을 남발하다보니 대출 증가가 언제 터질지 모르는 시한폭탄이 되고 있다는 점이다. 부동산 규제 완화 이후 매월 6조원 이상씩 폭증한 가계대출의 절반가량이 생활자금 용도로 쓰이고 있다는 통계가 이런 우려를 뒷받침한다.주택가격 상승에는 한계가 있고, 설령 실제 상승이 이뤄진다고 해도 그것이 소비진작으로 이어질 것이라는 근거는 어디에도 없다.이와 관련 최근 학계에서는 ‘주택가격 상승보다 소득 증대가 소비 진작에 더 효과적’이라는 너무 당연해 보이는 결론이 연구 결과로 나와 눈길을 끈다. ‘내수 활성화’라는 명분을 내걸고 실시된 부동산 규제 완화가 근본 방향부터 잘못됐다는 말이다.금융연구원·서울대 금융경제연구원·KCB연구소가 공동 주최한 ‘주택금융규제 완화, 그 효과는?’ 정책컨퍼런스에서 김영식 서울대 경제학부 교수와 최성호 코리아크레딧뷰로(KCB) 연구소 전문연구원의 발표가 대표적이다.이들은 주택담보대출 차주를 대상으로 이들의 소득, 주택가격과 상환원리금이 소비(카드이용액)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해 “소비를 늘리기 위해선 차주의 소득을 늘리는 것이 주택가격을 상승시키는 것보다 약 4.4배 더 강한 효과가 있다”고 밝혔다.정부 내수활성화 정책 근본부터 잘못…패러다임 전환 필요
저작권자 © 매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