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대 유망서비스산업 활성화 방안 보고서 발표
[매일일보 이한듬 기자] 7대 유망서비스산업 활성화를 위해서는 특정 지역에 규제특례를 적용하는 ‘서비스산업 특별구역’을 지정해 외래관광객 유치 확대전략을 통한 내수 1억 명 확보, 서비스 연구개발(R&D) 확대가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7대 유망서비스산업는 일자리 창출효과와 성장잠재력을 기준으로 정부가 선정 보건의료·관광·교육·금융·소프트웨어(SW)·문화콘텐츠·물류 산업이다.전국경제인연합회는 7일 ‘7대 유망서비스산업 활성화 방안’ 보고서를 통해 서비스산업의 성장을 가로막는 주요 원인으로 규제문제, 협소한 내수시장, 서비스 R&D 미흡을 지적했다.서비스산업 규제 수는 제조업의 10배에 달하고, 이 중 62%는 유망서비스산업 규제임에도 불구하고 장기간 해결되지 않고 있다.내수를 기반으로 하는 서비스산업의 특성에 비춰봤을 때 5000만명 인구와 10년 째 국민소득 2만불 대에 정체 중인 소비여력 역시 성장에 걸림돌이다. 정부와 민간의 서비스 R&D 투자비중이 낮아 미래경쟁력 확보도 미흡하다.보고서에 따르면 참여정부부터 현 정부까지 역대 정권 모두 서비스산업 육성을 위해 노력했음에도 불구하고, 의료·교육 분야 핵심규제들이 17~19대 국회에 걸쳐 ‘장기 미해결’ 상태인 것으로 분석됐다.원격의료의 경우 17대 국회부터 현재까지 3009일째 처리되지 않고 있다. ‘의료법인간 합병절차 마련’은 부실 의료 기관조차 파산할 때까지 운영할 수밖에 없는 현행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임에도 불구하고 3129일째, ‘법인약국 허용’은 현행 규제에 대한 헌법재판소의 헌법불합치 판결에도 불구하고 3963일째 미해결 상태다.외국 교육기관 유치의 핵심규제인 ‘과실송금 허용’ 또한 18대 국회부터 꾸준히 제기되었으나 해결되지 않고 있다.최대 69만 명 일자리 창출효과가 있다고 분석되는 서비스산업발전기본법 역시 1000일 넘게 국회 계류 중으로, 통과 여부가 불투명한 상황이다.전경련은 서비스산업이 제조업 대비 규제가 10배나 많고 핵심규제가 장기간 풀리지 않는 현실을 감안할 때, 지역단위의 규제특례를 통해 성공모델을 만드는 ‘7대 유망서비스산업 특구’ 도입이 시급하다고 주장했다.서비스산업 규제가 많은 일본과 중국의 경우도 이와 유사한 제도를 통해 사업성을 검증하고,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키우는 등 앞서 나가고 있다.저작권자 © 매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