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사비리 금융권 물갈이 본격화…역대정권과 ‘판박이’
상태바
인사비리 금융권 물갈이 본격화…역대정권과 ‘판박이’
  • 송정훈 기자
  • 승인 2017.10.26 15:5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사진=각 사 제공
[매일일보 송정훈 기자] 금융권 최고경영자(CEO)들이 긴장하고 있다. 인사·채용비리를 계기로 문재인 정권 차원에서 대대적인 사정작업이 진행되고 있어서다. 적폐청산이라는 명분을 내걸고 여론전을 주도하면서 현정부 입맛에 맞는 인사를 금융권에 앉히려는 의도가 아니냐는 시각이 지배적이다. 이전 정권에서도 금융당국이나 국책은행의 감사를 통해 CEO를 물갈이했다.26일 금융권에 따르면 최근 감사원의 금융감독원 채용·인사비리 감사 결과를 받은 검찰의 수사 빠르게 시중 금융사로 번지고 있다.
검찰은 지난달 22일 인사비리 건으로 금감원에 대한 압수수색을 단행했다. 우리은행 채용비리에 대해선 금감원이 이번주 현장조사를 거쳐 검찰에 수사를 의뢰할 방침이다.이미 BNK금융그룹을 시작으로 현 정부와 코드가 맞는 인사개편이 진행중이란 관측이 많다. 주가조작 혐의로 현 정부 출범 전 구속된 성세환 전 BNK금융 회장을 대신해 친정부인사인 김지완 전 하나금융 부회장이 회장으로 선임됐다. 그는 부산상고 출신으로 문재인 대통령의 정치적 기반인 부산지역 친노(친노무현) 진영의 지지를 받은 것으로 전해졌다. 여권 고위관계자는 “어차피 새술은 새부대에 담아야 하는 것 아니냐”며 “국책은행을 비롯해 각종 비위가 적발된 시중은행도 인사 교체는 정부마다 이뤄졌다”고 말했다.
실제 박근혜·이명박 정부 출범 초기 이전 정권의 코드인사였던 국책은행장들이 대거 물갈이된 전례가 있다. 이들 정부는 감사원의 금융 공공기관 감사결과 등을 통대로 은행장 해임 조치를 내리는 등 금융권에 친정부 낙하산 인사를 기용했다.현 정부 들어 지난 9월 이동걸 KDB산업은행 회장이 자진사퇴했다. 임기를 1년 5개월 남긴 시점에서다. 이 회장은 5년전 대선에서 친박(친박근혜) 금융인 지지선언을 주도했다. 앞서 박근혜 정부가 출범한 2013년 3월 감사원은 산은 감사 결과, 2011년 9월 출시한 고금리 다이렉트 상품으로 인해 2012년 9월까지 244억원의 손실이 발생했다고 밝혔다. 결국 당시 강만수 산은회장은 임기를 11개월 앞두고 자진 사퇴했다. 노무현 정부가 출범한 2003년에는 당시 정건용 산업은행 회장이 임기 1년을 남겨두고 사퇴했으며 2008년 이명박 정부에선 김창록 회장이 중도 사퇴했다.국책은행이 사퇴 행렬은 인사비리를 계기로 시중은행으로 확산될 조짐이다. 시중은행들도 인사 관련해 내부 의혹이나 논란이 끊이지 않고 있어서다.신한금융도 한동우 전 회장 아들이 지난 3월 신한은행 뉴욕지점으로 예비발령나면서 특혜 논란이 제기된 바 있다. 또 임영진 신한카드 사장의 딸은 2012년부터 신한카드 공채 3기로 입사해 근무하고 있으며 김형진 신한금융투자 사장의 아들 역시 신한카드 신입사원 인턴십을 거쳐 올해부터 정규직으로 근무하는 것으로 알려졌다.지난해 12월 취임한 김도진 IBK기업은행장도 친박인사로 구설수에 오른바 있다. 당시 기은 노조는 김 행장 인선 배후에 정찬우 전 한국거래소 이사장과 친박계 인사가 있다고 주장하며 작년 11월 김 행장이 정은보 금융위 부위원장과 모임을 했다는 의혹을 제기했다. 이에 대해 당시 김 행장과 금융위 측 모두 “사실무근”이라고 부인했다.여권 한 관계자는 “정권교체기 금융권 CEO 교체는 관행이 아닌 관행이 돼왔던 게 사실”이라며 “다만 은행권에 낙하산 인사에 대한 국민 여론이 좋지 않기 때문에 이전 정부처럼 대대적인 물갈이로 이어질지는 모르겠다”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