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사원 징계.금융당국 검사.검경수사까지 '닯은꼴'
[매일일보 송정훈 기자] 금융권에 사정한파가 매섭게 몰아치고 있다. 금융감독원에서 출발한 채용비리는 우리은행 장 사퇴를 넘어 KB국민·KEB하나은행의 검찰수사로까지 이어지고 있다. 인사·채용비리를 계기로 문재인 정부는 정권 차원에서 대대적인 사정작업을 진행중이다. 적폐청산이라는 명분을 내걸고 여론전을 주도하면서 현정부 입맛에 맞는 인사를 금융권에 앉히려는 의도가 아니냐는 시각이 지배적이다. ‘전 정권 인사’를 솎아내기가 이명박(MB) 정권, 박근혜 정권 당시와 ‘닮았다’는 평가다. 새 정부 출범 후 기존 금융사 CEO에 대한 고강도 검사가 진행되고 CEO는 자리에서 물러나고 정부의 ‘낙하산’이 내려오는 식이다.이명박 정부 때인 지난 2009년 KB금융지주 회장에 내정된 강정원 전 국민은행장은 금감원 검사에서 중징계를 받고 물러났다. 그 자리는 어윤대 전 고려대 총장이 차지했다.앞서 2008년 KB금융지주 회장에 취임했던 황영기 전 회장은 금융위가 우리은행장 시절 파생상품 투자로 은행에 1조원의 손실을 끼쳤다는 이유로 직무정지 3개월의 중징계를 내리자 2009년 1년여 만에 회장직에서 물러났다. 2010년 3월 라응찬 당시 신한금융지주 회장은 4연임에 성공했지만 그해 10월 금감원이 금융실명법 위반 혐의로 중징계 방침을 통보하자 회장직에서 물러나기도 했다.박근혜 정부 출범 후에는 이명박 전 대통령과 친분이 있어 금융권 ‘4대천왕’으로 불렸던 김승유 하나금융지주 회장, 이팔성 우리금융 회장, 어윤대 KB금융 회장, 강만수 산은금융지주 회장이 모두 물갈이됐다.정부 출범 직후인 2013년 3월 감사원은 산은을 감사한 결과 2011년 9월 출시한 고금리 다이렉트 상품으로 인해 2012년 9월까지 244억원의 손실이 발생했다고 밝혔다. 결국 당시 강 회장은 임기를 11개월 앞두고 자진 사퇴했다. 이 자리는 서강대출신이면서 대통령직 인수위원으로 활동했던 홍기택 교수가 물려받았다.저작권자 © 매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채용비리는 뿌리까지 뽑아 근절해야하는 범죄이고 문정부가 금융지주 인사 자리를 모리고 현 임원들을 흔드는 것 역시 사라져야할 적폐입니다.
채용비리만 뭐라 할 것이 아니라 줄 잘서면 출세 한다는 인식을 주는 정부의 낙하산 인사 행태 역시 반드시 사라져야 할 적폐입니다.
매일일보에서 이런 기사를 내 주셔서 감사합니다. 대부분의 취준생은 채용비리도 낙하산 인사도 피눈물이 나는 이야기 입니다.
계속 언론에서 문제제기를 해서 정부도 회사도 이딴 짓 못하게 해주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