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일 대통령 주재 국무회의서 '청년 삶 실태조사' 첫 보고
청년 평균 연소득 2162만원·부채 1172만원
절반 이상 부모와 동거…최근 1년간 번아웃 33.9%
청년 평균 연소득 2162만원·부채 1172만원
절반 이상 부모와 동거…최근 1년간 번아웃 33.9%
매일일보 = 염재인 기자 | 만 19∼34세 여성 가운데 출산(추가 출산 포함) 의향이 있는 이들이 55.3%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경력 단절과 육아 부담 등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되면서 저출생 현상이 앞으로도 더 심화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아울러 절반 이상의 청년들이 경제적 문제로 독립하지 않고 부모와 함께 사는 것으로 조사됐다. 미래에 대한 불안 등에 따른 번아웃(정서적 소진) 경험도 33.9%로 높았다.
7일 국무조정실은 이같은 내용을 담은 '청년 삶 실태조사'를 발표했다. 정부는 보건사회연구원 등을 통해 작년 7∼8월에 만 19~34세 청년 2만명을 대상으로 주거, 미래 설계, 노동, 교육, 경제 등 8개 분야 200개 항목에 대해 조사했다. '청년 삶 실태조사' 발표는 지난 2020년 청년기본법 제정 이후 처음 실시됐다. 청년들은 미래 한국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경제적 요소를 묻는 질문에 95.7%가 저출생·고령화 문제를 꼽았다. 매우 영향이 있다는 응답이 55.6%에 달했다. 기후변화(92.4%), 불평등(90.1%), 기술·산업구조 변화(90.1%), 테러리즘(81.9%) 등을 꼽은 사람은 이보다 적었다. 지난해 합계출산율(가임여성 1인이 평생 동안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출생아 수)이 0.78명을 기록하면서 조만간 한국이 소멸할 수 있다는 우려가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청년 본인의 출산 의향에 대해선 전반적으로 답변이 저조한 가운데 남녀 간 차이가 컸다. 만 19∼34세 남·여 가운데 출산(추가 출산 포함) 의향이 있는 이들이 63%에 불과한 것으로 조사됐다. 성별로는 여성은 55.3%만이 출산 뜻이 있다고 응답하면서 저출생 현상이 앞으로 심화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남성보다 여성의 출산 의향이 더 낮은 것은 자녀를 낳을 경우 경력 단절과 육아 부담이 여성에게 집중되는 사회 분위기도 한몫하는 것으로 풀이된다.저작권자 © 매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