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래대금 겨냥한 장밋빛 전망 일색...신정부 출범 효과 꼼꼼히 따져봐야
[매일일보] 박근혜 정부 출범과 맞물려 증권사들이 주식시장의 장밋빛 전망을 내놓고 있어 투자자들의 눈길을 끌고 있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실제 새정부 효과가 가시화 된 사례가 드물다며 무분별한 추종 매매는 주의해야 한다는 지적이 일고있다.24일 증권업계에 따르면 세계 금융위기가 생긴 2008년 이후 역대 새정부 출범 1년차 코스피 평균 상승률은 43.2%로 나타났다.
집권 2년차 코스피 상승률은 평균 32.4%, 3년~5년차 정권 후반기에는 -2.5%~0.2%로 상승동력이 떨어진 것으로 집계됐다.증권사들은 이런 수치를 토대로 신정부 출범 효과에 따른 수혜주 분석 리포트들을 쏟아내 투자자들의 눈길을 끌고 있다. 유가증권시장 종목 뿐만 아니라 상대적으로 중소형주가 밀집한 코스닥시장 역시 활성화 될 것이라며 투자를 유인하고 있다.최근 한 대형 증권사 연구원은 "현재 코스닥 시장 상황은 활성화 3단계 작업 중"이라며 신정부‧정부주도 ICT 육성‧중소기업 규제완화 등으로 코스닥 시장 상승에 대한 기대가 증가되고 있다"고 진단했다.또 다른 증권사 연구원 역시 "과거 새 정부 출범 첫해 주가가 전년 대비 평균 40% 이상 상승했다"며 "올해도 정책효과로 강세장이 전망된다"는 보고서를 발행했다.
하지만 증권사들은 1990년대 중반 이후 신정부 출범효과가 사실상 나타나지 않았다는 사실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고 있다.한국거래소에 따르면 노태우ㆍ김영삼 전 대통령의 새 정부 출범 1년차인 1988년과 1993년 지수 상승률은 72.8%와 27.7%에 달했던 반면 2∼4년차 평균 상승률은 각각 -6.2%와 -20.6%에 그쳐 신정부 출범효과가 급격히 식었다.그러나 김대중 전 대통령부터는 상황이 달라졌다. 김 전 대통령의 집권 1년차 지수상승률은 49.5% 급등했지만 직전 년도 외환위기로 시장이 반토막 날 정도로 망가져 일부 되돌림 현상이라는 것이 업계의 평가다.노무현 전 대통령 시절인 2003∼2007년에는 집권 1년차와 2∼4년차간 지수 상승률 격차가 4% 수준에 그쳤다. 이마저도 현 정부 집권 1년차에는 세계 금융위기로 지수가 49.7%나 빠졌다.일각에서는 업황 침체에 빠진 증권업계가 신정부 출범효과를 대대적으로 알리는 것은 거래 대금을 높이기 위한 포석이라고 지적했다.브로커리지 수익 비중이 절대적인 증권사들이 거래대금 급감으로 실적 악화를 겪자 투자자들의 매수세를 자극하기 위한 분석을 내놓고 있다는 것이다.관련업계 한 관계자는 "신정부 출범에 따른 일부 정책 수혜를 입는 종목도 나올 수 있지만 어디까지나 현재와 향후 기업 실적을 바탕으로 투자를 결정해야 한다"며 "신정부 출범 효과를 단순하게 믿고 묻지마 투자를 하게 된다면 큰 손실을 볼 수 있다"고 조언했다.
저작권자 © 매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