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간정보산업 대토론회 개최… 기술 변화에 유연한 법 적용 필요하고 공간정보 혁신 생태계 조성돼야
매일일보 = 전승완 기자 | 김선교·장철민 의원과 (사)한국지적학회, (사)한국지적정보학회가 주최·주관하고, 국토교통부와 LX한국국토정보공사가 후원하는 ‘공간정보산업 도약을 위한 대토론회’가 지난 20일 국회의원회관에서 개최된 가운데, 공간정보산업의 핵심 데이터인 디지털 지적의 현주소를 진단하고 앞으로 나가야 할 방향을 논의하는 자리가 마련됐다.
토론회에서는 평면 지적에서 입체 지적으로, 공적장부에서 국민 편익 콘텐츠로서 지적의 본질이 확장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김선교 의원은 개회사를 통해 “디지털 시대 지적은 미래 고부가가치산업을 창출하는 중요한 국가 자원”이라면서 “전국 최초로 양평군이 시행한 국토이용실태조사가 선례가 돼 디지털 지적을 구축하고 스마트 행정, 디지털 플랫폼 정부 구현에 일조할 수 있길 희망한다”고 밝혔다. 장철민 의원도 “챗GPT 등 인공지능(AI) 기술을 활용해 에너지 기업이 저유량 변화 등을 예측하는 시대가 도래했다”면서 “이처럼 다양한 형태로 활용 가능한 공간정보를 바탕으로 첨단 산업의 미래를 살필 수 있는 중요한 시간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국토교통부 이원재 차관은 “지적은 아날로그 시대의 오류와 오차에서 벗어나, 디지털 플랫폼 정부의 국토행정의 핵심 기반으로 나아가고 있다”면서 “디지털 지적의 혁신과 새로운 미래를 위한 산·학·연 소통의 장으로 이어지길 기대한다”고 언급했다. 한편 입체 지적의 중요성이 집중 부각됐다. 김병국 인하대 교수가 좌장을 맡은 종합토론에서 ㈜올포랜드 엘티메트릭 성동권 의장은 “공적장부로서 딱딱한 지적이 아닌 우리 일상에 존재하는 친숙한 콘텐츠로서 지적의 본질이 확장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임시영 국토연구원 부연구위원은 주제 발표를 통해 “GTX 개통을 계기로 토지 수용 문제 등이 대두되면서 입체 지적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면서 “신기술의 선제 도입 등이 가능한 유연하고 다양한 법·제도, 지적측량 데이터를 활용한 다양한 비즈니스 모델 개발, 타 분야와의 협업을 통한 기술 최적화가 검토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토론자 오정석 SH공사 도시연구원 수석연구원도 “기술은 이미 입체 지적으로 가고 있는데 어떤 정보를 지적과 결합할 것인가에 관한 고민이 부족한 것 같다”면서 “㎡당 가격 등과 같은 평면 정보가 아니라, 건물 높이 등과 같은 입체 정보 등을 지적에 등록한다면 LX공사가 할 일이 많아질 것”이라고 말했다.저작권자 © 매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