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금리 인상·메르스 파동에 자본유출 리스크 커지나
상태바
미 금리 인상·메르스 파동에 자본유출 리스크 커지나
  • 배나은 기자
  • 승인 2015.06.17 13:0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한국, 경제위기 내성 강해” vs “투자매력 약화 심화”
[매일일보 배나은 기자]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추가인하와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금리인상 실시 예고로 한국과 미국의 시장금리 역전이 가시화되면서 자본유출에 대한 우려가 연이어 제기되고 있다.여기에 메르스 파동이 장기화 될 수 있다는 전망과 수출기업 등의 실적 부진이 겹치면서 한국의 투자 매력 하락 현상이 가속화 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17일 한국거래소와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외국인 투자자는 유가증권시장에서 지난 8일부터 16일까지 7거래일 동안 8596억원어치를 순매도했다.특히 외국인은 지난주에는 5거래일(8~12일) 연속 ‘팔자’에 나서며 6703억원어치를 팔아치웠다.이어 지난 16일에는 3111억원어치의 매물을 쏟아내며 올해 1월 6일(-3300억원) 이후 5개월여만에 최대 규모의 순매도를 보였다.올해 외국인 투자자는 1월(-1조390억원)을 빼고는 2월 1조3257억원, 3월 2조9111억원, 4월 4조6493억원, 5월 1조7253억원 등 4개월 연속 순매수를 나타냈으나 최근 투자 방향을 전환한 것이다.문제는 이 같은 외국인 투자자들의 매도세가 장기적인 자본유출로 이어질지 여부다.전문가들은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 결과가 외국인 수급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한국의 경우 미국을 비롯한 주요 국가의 금리 흐름과는 다르게 기준금리를 추가적으로 인하하면서 미국과의 금리 차이를 좁혀나가고 있다.이처럼 한미 양국의 금리 격차가 줄어들면 국내 주식·채권 시장 등에 투자한 해외 투자자금이 투자수익을 기대하기 어렵기 때문에 높은 금리를 좇아 이동할 가능성이 커진다.
지기호 LIG투자증권 연구원은 “이번 FOMC 회의에서 9월 기준금리 인상이 확실하다는 신호를 줄 것으로 보인다”며 “이 경우 외국인 투자자가 월간 기준 순매도로 돌아설 가능성이 있는 만큼 주의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보건당국의 통제 실패로 메르스 사태가 확대될 수 있다는 전망이 이어지면서 이로 인한 자본유출 우려도 깊어지고 있다.실제 금융위원회는 메르스 사태가 자본시장 끼칠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19일로 예정된 금요회 주제를 ‘메르스 충격 IB업계 간담회’로 긴급 변경한 것으로 알려졌다.그리스의 유로존 탈퇴인 ‘그렉시트’를 우려한 외국자본의 철수 가능성과 실적 호전에 대한 기대가 다소 꺾이면서 수출기업의 투자 매력이 떨어진 것 역시 자본유출을 가속하는 요인이라는 분석도 나온다.강봉주 메리츠종금증권 연구원은 “최근 기업 이익 전망치가 자동차, 정보기술(IT), 조선, 운송 등 경기민감 업종을 중심으로 소폭 하락하며 외국인 매수세가 단기적으로 약화됐다”고 분석했다.그러나 일각에서는 한국은 다른 신흥시장 국가보다 경제의 기초여건이 튼튼하고 외환건전성도 양호하기 때문에 급격한 자본유출 가능성은 크지 않다는 반론도 나오고 있다.포스코경영연구원이 전 세계 30개 신흥국을 대상으로 벌인 경제위기 취약성 분석 결과를 보면 한국은 중국, 대만, 태국, 필리핀, 베트남 등과 함께 경제위기에 취약함을 의미하는 6개 지표 중 보유 항목이 하나도 없었다.경제위기 취약성 판단에 활용된 6대 지표는 국내총생산(GDP) 대비 총외채 비율, 외환보유고 대비 단기외채 비율, GDP 대비 경상수지 비율, 인플레이션, GDP 대비 재정수지 비율, 경제성장률 등이다.정철호 포스코경영연구원의동향분석센터 수석 연구원은 “한국을 비롯한 아시아 국가들은 대부분 경제 펀더멘털과 외환 사정이 상대적으로 양호하다”면서 “미국 금리 인상을 전후해 경제 기초여건과 외환 사정이 안 좋은 신흥국을 중심으로 금융불안이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김성훈 한국경제연구원 부연구위원은 “미국의 금리 인상으로 외국 투자자들이 주식을 처분하는 대신 채권 보유를 늘리면서 실제 외국 채권 자본 유출 압력이 크게 나타나지 않았다”며 “하반기 예정된 미국 금리 인상에 따른 외국채권자본 유출 또한 크지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그는 “다만 미국 금리 인상 직후의 자본유출 압력이나 국제금융시장의 불확실성 등은 여러모로 고려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