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신용비율 105%...美 75.2%·日 67.9% 보다 높아
한은 "과도한 가계부채가 성장 발목 잡는 최대 위험"
한은 "과도한 가계부채가 성장 발목 잡는 최대 위험"
매일일보 = 이광표 기자 | 높은 가계부채가 경제 성장의 발목을 잡아 디레버리징(부채 축소)이 필요하다는 한국은행의 지적이 나왔다. 다만 가계부채의 급속한 디레버리징은 금융불안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어 디레버리징이 완만한 속도로 이뤄져야 한다는 주장이다.
국내총생산(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이 80%를 넘어서면 경제가 1~3년 안에 침체에 빠질 가능성이 높아진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우리나라의 경우 이 비율이 105%에 달해 가계부채가 경제에 미치는 부정적인 파급효과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 경제가 침체의 늪에 빠지지 않으려면 가계부채를 줄여나가는 디레버리징(deleveraging·부채 축소)이 지속적으로 이뤄져야 한다고 한국은행은 주장했다. 한국은행은 28일 발간한 ‘BOK이슈노트: 가계신용 누증 리스크 분석 및 정책적 시사점’에서 “주요국에 비해 과도한 가계부채 수준이 우리 경제의 가장 큰 위험 요인으로 부상하면서 앞으로 금융·경제 불안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우리나라 GDP 대비 가계신용 비율은 국제결제은행(BIS) 집계 기준으로 지난해 말 105.3%였다. 주요 43개국 가운데 스위스, 호주에 이어 3위로, 가장 높은 편에 속한다. 미국(75.2%), 영국(84.5%), 일본(67.9%), 독일(55.7%), 프랑스(66.5%) 등 선진국은 이 비율이 100% 미만이다. 보고서는 소득이나 경제 여건에 비해 과도한 수준으로 누적된 가계부채가 시차를 두고 성장 하방 요인으로 작용하고 경기 침체 발생 가능성을 높인다고 밝혔다. 빚이 많은 가계일수록 이자상환 부담이 크기 때문에 여윳돈이 부족해지고, 이는 소비 위축으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또 지난해부터 한국은행을 비롯한 주요국 중앙은행이 기준금리를 가파르게 인상하는 등 긴축적인 통화정책을 펼치면서 주택가격이 하락세로 돌아서고 주가도 약세를 보이고 있다. 보고서는 “가계대출이 급증한 상황에서 자산가격의 급격한 하락, 신용위축 등의 충격이 발생할 경우 가계대출이 빠르게 부실화되면서 금융불안이 커질 수 있다”고 했다. 실제 2021년 말 0.16%이던 가계대출 연체율이 지난 2월 말 0.32%로 상승하면서 가계부채 위험 신호가 커지는 양상이다. 높은 가계신용은 소비를 제약해 중장기 성장 흐름을 약화하고 위기 발생 가능성을 키워 경제를 취약하게 만드는 요인으로 지목됐다.저작권자 © 매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