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일보 = 이채원 기자 | 최근 가계대출 재증가세와 함께 기업대출도 빠르게 늘어나고 있다. 특히 기업 재무안정성도 약화하고 있어 향후 금융기관 부실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30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금융기관 기업대출(산업별대출금) 잔액은 2분기 말 기준 1842조8000억원으로 1년 전(1713조1000억원) 대비 7.57%(129조7000억원) 증가했다. 기업대출 잔액은 2018년 말 1121조3000억원에서 2019년 말 1207조8000억원, 2020년 말 1393조6000억원, 2021년 말 1580조7000억원, 지난해 말 1797조70000억원 등으로 급등했다. 올해 2분기 말 기준 기업대출 잔액은 불과 3년 반 만에 52.6% 늘어났다. 우리나라의 기업대출 증가율은 주요국과 비교해봐도 매우 빠른 속도를 보이고 있다. 국회예산정책처가 국제결제은행(BIS) 통계를 인용한 데 따르면 국내총생산(GDP) 대비 기업대출 비중은 한국이 지난해 4분기 기준 119.6%로 2019년 대비 18.3%포인트(p) 상승해 비교 가능한 국가 중 상승폭이 가장 컸다. 예산정책처 관계자는 “금리가 급등하면서 자본시장에서 자금 조달이 여의치 않은 기업의 자금 수요가 증가하면서 기업대출이 높은 증가세를 유지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기업대출이 급증하는 한편으로 기업들의 재무 안정성은 전반적으로 나빠지고 있다. 한은에 따르면 기업 부채비율은 2019년 말 84.27%에서 2020년 말 85.75%, 2021년 말 86.43%에 이어 2022년 말에는 92.13%로 상승했다. 기업 부채비율은 올해 1분기 94.95%까지 높아졌다가 2분기 90.85%로 낮아졌지만 여전히 90%를 상회했다. 은행 월별 기업대출 연체율은 지난해 내내 0.3% 수준을 유지하다가 올해 1월 0.4%로 상승한 뒤 지난 4월과 5월에는 0.5%까지 올라갔다. 이 관계자는 “경제 상황이 개선되지 않은 상황에서 급증한 기업대출은 경제 부담으로 이어질 수 있고 연체율이 추가로 더 올라간다면 늘어난 기업대출이 은행에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다”며 “신용보증기금 등의 부실률이 높아지면서 재정 부담으로 이어질 우려도 상존한다”고 우려했다. 한은은 최근 통화신용정책보고서에서 "“가계부채와 달리 기업부채는 기준금리 인상에도 불구하고 높은 증가세를 지속했다”면서 “자금조달비용 상승, 주택경기 둔화 등에도 불구하고 부동산 관련 대출이 기업부채 증가를 주도하고 있다”고 진단했다.저작권자 © 매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