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경제硏 "글로벌 금융불안 키우는 요인으로 작용"
[매일일보 박동준 기자] 최근 위안화 절하를 포함한 중국 경제의 불안으로 글로벌 경제까지 흔들리고 있는 가운데 위안화 환율의 불확실성과 변동성이 더 높아지리라는 분석이 나왔다.
이 위원에 따르면 지난 11∼13일 중국 인민은행이 연달아 단행한 위안화의 절하 조치는 중국 정책당국이 환율결정방식을 바꾸는 과정에서 나타난 것이다.
중국은 2005년부터 주요 교역상대국의 통화 움직임을 감안해 매일 기준환율을 고시하는 관리변동환율제도를 운영해 왔다.
다소 불투명하고 자의적이라고 평가받던 이 방식에서 지난 11일 시장환율을 더 반영하는 방식으로 환율결정방식을 수정해 환율제도 개혁에 나선 것이다.
위안화 절하가 예상되는 상황에서 환율결정방식을 바꾼 것은 위안화 절하를 용인한 것이나 마찬가지다.
그 배경으로는 지난 7월 중국의 수출이 8.3% 감소하는 등 위안화가 절상돼 있던 상황에서 낮아진 중국 기업의 수출경쟁력을 개선하려는 의도가 꼽힌다.
아울러 국제통화기금(IMF)의 특별인출권(SDR) 구성 통화로 편입되기 위한 조치로도 해석된다.
이 위원은 이 밖에도 그동안 중국이 꾸준히 자본시장 개방을 추진한 결과 자본 이탈이 늘어나는 상황에서, 통화 완화 기조를 유지하려면 환율의 유연성을 높일 수밖에 없는 정책적 제약 때문일 수도 있다고 분석했다.
최근 위안화 환율은 안정세를 회복했지만, 자본유출 압력이 이어진다면 위안화가 추가 절하 압력을 받을 수 있다고 이 위원은 내다봤다.
이 위원은 "자본이동 규제가 완화되고 환율결정이 점차 시장 친화적으로 바뀌어 나간다면 위안화 환율의 변동성과 불확실성은 높아질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위안화의 절하는 중국 경제와 연관성이 큰 국가를 중심으로 글로벌 금융 불안을 가속화할 수 있다.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를 거친 이후 주요 아시아 통화와 위안화의 상관관계는 높아졌다.
우리나라의 경우 금융위기 이전(2005년 7월∼2008년 7월) 원화와 위안화의 상관계수는 0.15였으나 위기 이후(2010년 6월∼2015년 8월) 0.25로 높아졌다.
엔화에 대한 동조성이 위기 이전 0.04에서 이후 0.08로 소폭 상승한 것과 대조된다.
변동성이 커지면서 과거 글로벌 경제위기의 완충 역할을 하던 위안화는 이제 불안을 확산시키는 요인이 됐다.
이 위원은 "그동안 위안화는 절상 추세를 유지하거나 안정적인 수준에 머물면서 세계경제의 안정을 지지하는 역할을 했다"며 "신흥국을 비롯한 여타 국가들의 통화가치가 급락하는 경제위기의 시기에 위안화의 동반 절하를 막은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나 과거와 달리 이제는 위안화 환율의 불확실성이 높아지면서 주변 신흥국의 금융·경제 불안을 야기하고 글로벌 금융 불안을 확대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게 됐다.
우리나라도 중국 경제에 의존도가 높고 중국 기업과의 경합도가 커 위안화 절하로 부정적인 영향을 크게 받을 수 있다.
이 위원은 "중국 의존도가 높은 국가들에게는 당장은 아니더라도 앞으로 달러화보다 위안화 환율의 중요성이 더 높아질 수 있다"며 "자국 통화와 위안화의 동조화로 인해 장래 위안화 결제·차입 등 위안화 금융을 높여야 할 필요성이 커지고, 이는 다시 자국 통화가치를 달러화보다는 위안화에 대해 안정시킬 필요성을 높이는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저작권자 © 매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