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네스코 세계유산 "조선왕릉" 53기 달해
상태바
유네스코 세계유산 "조선왕릉" 53기 달해
  • 김종혁 기자
  • 승인 2016.07.10 17:4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능(陵) - 왕과 왕비, 추존된 왕과 왕비 무덤 40기
원(園) - 왕세자와 왕세자비, 왕의 사친(私親)무덤 13기
 [매일일보]  한국의 조선시대(1392~1910) 왕실과 관련되는 무덤은 ‘능(陵)’과 ‘원(園)’으로 구분된다. 왕릉으로 불리는 능(陵)은 ‘왕과 왕비, 추존된 왕과 왕비의 무덤’을 말하며 원(園)은 ‘왕세자와 왕세자비, 왕의 사친(私親)의 무덤’을 말한다.조선시대의 왕릉과 원은 강원도 영월의 장릉, 경기도 여주의 영릉과 녕릉 3기를 제외하고는 당시의 도읍지인 한양에서 40km 이내에 위치하고 있으며 왕릉이 40기, 원이 13기 등 총 53기가 있다.
 
조선시대의 왕릉은 조선시대의 국가통치 이념인 유교와 그 예법에 근거해 시대에 따라 다양한 공간의 크기, 문인과 무인 공간의 구분, 석물의 배치, 기타 시설물의 배치 등이 특색을 띠고 있다.특히 왕릉의 석물 중 문석인, 무석인의 규모와 조각양식 등은 예술성을 각각 달리하며 시대별로 변하는 사상과 정치사를 반영하고 있어서 역사의 흐름을 읽을 수 있는 뛰어난 시대유산에 속한다.조선시대의 왕릉은 하나의 우주세계를 반영하도록 조영됐다. 능역의 공간은 속세의 공간인 진입공간(재실, 연못, 금천교), 제향공간(홍살문, 정자각, 수복방), 그리고 성역공간(비각, 능침공간)의 3단계로 구분되어 조성됐는데, 이는 사후의 세계관을 강조한 것이다.
 
조선시대의 능원은 600여년이나 되는 오랜 기간 동안 통치한 왕조의 능원제도의 특징을 갖고 있으며 시대적 흐름에 따른 통치철학과 정치상황을 바탕으로 능원공간 조영 형식의 변화, 관리공간 영역의 변화, 조형물 특성의 변화 등을 잘 반영하고 있는 독특한 문화유산이다.현재 '전주이씨대동종약원'에서 시행하고 있는 산릉제례는 조선왕조 600여 년 동안 지속적으로 유지돼 왔다.이는 조선시대의 대표적 사상인 유교의 충과 효를 상징하는 예제의 집결체라고 할 수 있는 것으로 조선왕조가 멸망한 후 오늘날까지 왕실 후손들에 의해 계속되고 있는 한국만의 독특한 역사유산이다.조선왕릉은 역사 문화적 가치를 인정받아 2009년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지정됐다. 


좌우명 : 아무리 얇게 저며도 양면은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