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일보] 한국인의 종합적 노후대책 수준을 평가하는 지표가 개발됐다.생명보험사회공헌위원회는 10일 서울대 노년은퇴설계지원센터와 공동으로 ‘행복수명지표’를 개발했다고 밝혔다.이들 연구는 20대 이상 경제활동인구 1552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다.연구에서 밝힌 행복수명지표는 행복한 노후생활에 필요한 핵심 요소를 건강, 경제, 대인관계, 사회참여 및 여가활동 등 4개 영역으로 구분한다. 측정은 각 영역에 대한 객관적 준비 수준, 주관적 만족도, 준비 계획 등을 총 40개 문항으로 이뤄졌다.조사 결과를 보면 우리나라 국민의 평균 행복수명은 74.9세다.
이는 응답자들의 기대수명인 평균 83.1세보다 약 8.2세 적은 것으로 전반적인 노후준비 부족이 생존기간 중 약 8년 이상 행복한 삶을 지속하기 어렵게 만든다는 것을 의미한다.사회인구학적 특성별로 살펴보면 여성(76.3세)이 남성(74.0세)보다 행복수명이 길었으며 기혼자(75.9세)가 미혼자(72.7세)보다, 자녀가 있는 경우(76.3세)가 없는 경우(71.9세)보다 길었다.각 영역별로 보면 건강수명은 76.4세, 경제수명은 74.8세, 활동수명은 73.2세, 관계수명은 75.7세로 조사됐다.행복수명지표 연구를 맡은 서울대 소비자학과 최현자 교수는 “단순히 점수의 높고 낮음을 통해 노후준비 수준을 알려주던 기존의 지표와 다르게 ‘수명’의 개념을 적용했다”며 “개개인의 노후준비 수준을 기대수명과의 격차를 통해 제시함으로써 노후준비의 필요성을 체감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생명보험사회공헌위원회 위원장인 이수창 생명보험협회장은 “많은 국민이 행복수명 캠페인에 동참하고 의미를 되새김으로써 노후준비 실천을 다짐하는 계기가 마련되길 기대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