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실 가능성 있는 대출 규모, 올해 상반기 2조334억원
금리 인상·경기침체發 상환능력↓…건전성 관리 ‘빨간불’
[매일일보 홍석경 기자] 저축은행에서 부실 위험이 있는 대출 규모가 코로나19 사태가 발생하기 이전인 2019년 상반기보다 무려 23% 급증했다. 금리 인상과 경기침체에 따라 차주들 상환 능력이 떨어진 가운데, 저축은행 건전성 관리에 빨간불이 켜졌다.
19일 금융감독원 금융통계정보시스템 공시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전국 79개 저축은행의 ‘손실위험도 가중여신’ 규모는 작년 상반기 말(1조7335억원) 대비 17% 늘어난 2조334억원으로 집계됐다. 코로나19 사태가 발생하기 전인 2019년 상반기(1조6545억원)와 비교하면 3년 만에 23% 증가했다. 손실위험도 가중여신은 각 저축은행의 총여신 중에서 손실 발생이 예상되는 대출이다.
저축은행별로 살펴보면 역시 고객이 많은 상위권 대형 저축은행에서 두드러졌다. SBI·OK·한국투자·웰컴·페퍼저축은행의 손실위험도 가중여신은 올해 상반기 기준 1조595억원으로 작년보다 31% 늘었다. 3년 전인 2019년 상반기에 비하면 56%나 증가한 액수다.
이렇게 업계에서 위험 자산이 늘어난 배경은 저축은행 성장과 함께 대출잔액 역시 늘어난 영향으로 해석된다. 올해 상반기 기준 79개 저축은행의 총여신 규모는 약 114조5200억원으로 1년 전보다 30% 증가했다. 그러나 총여신 중 부실채권이 차지하는 비율은 높지 않다.
저축은행 업계 총여신 중 부실채권이 차지하는 비율은 올해 상반기 기준 3.34%로, 지난해 상반기 3.62%에 비해 다소 낮아졌다. 3년 전인 2019년 상반기 5.05%에 비해서는 큰 폭으로 줄었다.
그렇다고 안심할 상황은 아니다. 금리 인상과 경기침체로 인해 다중채무자,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등 관련 대출에 대해 부실화 우려가 제기되고 있기 때문이다. 업계 역시 만일의 사태에 대비해 충당금 적립 수준을 높이고 있다. 저축은행 업계는 올해 상반기 대손충당금을 전 분기보다 3916억원이나 많은 1조2974억원 적립했다.
특히 금융시장을 둘러싼 대내외 여건이 좋지 않은 만큼, 공격적으로 영업보다는, 리스크 관리에 만전을 기하는 분위기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저축은행의 여신 연체율은 6월 말 기준 2.6%로 지난해 말(2.5%) 대비 0.1%포인트 악화했다. 기업대출(1.9%)과 가계대출(4.0%) 연체율이 각각 0.1%포인트, 0.3%포인트 상승했다. 고정이하여신비율은 같은 기간 3.4%에서 3.3%로 0.1%포인트 하락했다.
불안한 경기 상황에 따라 대출금 회수가 불가능해질 것으로 우려되자 일부 저축은행에선 개인사업자 주택담보대출의 취급을 중단하는 사례도 발생하고 있다. 자금 조달 위기까지 보이는 상황에서 부실 위험이 높아진 대출부터 조이고 셈이다. 상상인저축은행의 경우 지난 5월부터 개인사업자 주담대를 취급하지 않고 있으며, 애큐온저축은행 등의 중견업체들도 해당 상품의 판매 비중을 줄이고 있다.
정부도 2금융권 대출에 대한 우려가 지속적으로 제기되는 만큼 충당금 적립기준을 강화해 손실흡수능력을 키운다는 계획이다.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은 최근 열린 국회 정무위원회 국정감사 업무보고를 통해 “금융사의 손실흡수능력을 제고해 대내외 충격에도 금융회사가 건전성을 유지하며 자금중개기능 등 본연의 역할을 원활히 수행할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